북미회담 기대감 커지면서 서해공동경제특구 같이 부상
인천항만공사, “남포항ㆍ해주항 항로 준설과 개발 적극 참여”

 인천항은 5.24조치로 교역이 중단될 때까지 총4억4034만 톤을 처리하며 남북경협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사진은 남북 교역의 주된 창구인 인천내항 전경.<사진출처·인천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서해 항로 준설로 항만개발 주도권 포석

제2차 북미 정상회담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우리 국민의 63%는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그만큼 한반도 평화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것을 방증한다.

북한 비핵화와 북미 관계 개선을 골자로 한 북미회담에 기대가 커지면서 인천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개성공단 재가동과 서해경제공동특구 조성, 서해평화수역과 시범 공동어로구역 조성은 인천과 직결된 사업이라 더욱 관심을 끈다.

인천항만공사는 이 같은 남북경협 사업을 뒷받침하는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인천 ~ 해주 항로를 복원하고, 해주항 항로 준설 사업에 직접 뛰어들겠다고 11일 밝혔다. 항로 준설로 해주항 개발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쥐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는 해양수산부가 지난 1월 발표한 해양수산분야 경협 계획의 연장선에 있다. 해수부는 당시 서해공동특구와 관련해 북측 항만 정비 등 해양수산분야 사업이 남북의 공동특구 구상에 포함될수 있게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구체적으로 서해경제공동특구 활성화 시 배후 물동량을 적기에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며, “해주항과 남포항 등 북측 항만의 정비와 배후단지 조성을 관계부처에 제안했다”고 부연했다.

남북경협 활성화 시 물류 인프라 중 해운 분야가 기초다. 인천에서 우선 해주ㆍ남포 항로를 복원하고, 신의주에 항로를 신설하며, 이를 위해 항로 준설이 요구된다. 북측 주요 항만 항로에 모래가 쌓여 있어 이를 준설해야 배가 다닐 수 있다.

북한의 주요 무역항은 남포, 해주, 청진, 흥남, 라진, 선봉, 송림, 원산, 단천 등 9개로 파악된다. 전체 하역 능력은 4000만톤 수준으로 남한의 4% 수준에 불과하다.

그중에서 인천항을 오가며 남북교역에서 핵심을 차지한 항만은 남포항(처리능력 1050만톤)과 해주항(처리능력 195만톤)이다. 대부분의 물자가 남포항과 인천항을 통해 오갔다.

우선 해주항은 북한의 시멘트 전용부두로 꼽힌다. 해주 바다에선 국내 업체가 해사를 채취하기도 했다. 2010년 5.24조치로 남북해상교역이 전면 중단되기 전까지 인천항에서 남포항과 해주항에 정기선이 운항했다.

인천항만공사는 해주항 노선을 복원하더라도 준설 없인 취항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준설이 먼저라고 했다. 공사가 직접 모래를 준설해 항로를 구축하고, 해주항 개발과 교역에 주도권을 쥐겠다는 포석이다.

“항만공사가 직접 모래채취선 투입하는 건 아냐”

그러나 난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인천항만공사가 모래 준설 사업에 직접 참여할 경우, 5ㆍ24조치 전까지 북측 해역에서 모래 채취 사업을 했던 민간업체와 갈등이 우려된다. 민간 업계는 공사가 모래 채취에 나서겠다고 하자 반발했다.

모래 채취 업계 관계자는 “항만공사가 모채채취선을 직접 구입해 하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중개업을 하겠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그동안 민간이 진행한 경협 분야를 공기업이 가져가겠다는 것을 납득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금강산관광 같은 민간분야도 공기업이 해야 한다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공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민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공사가 채취선을 투입해 민간과 같이 경쟁하려는 게 아니다”며 “모래 채취에 여러 민간업체가 참여해 일부는 덤핑까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공사가 큰 틀에서 해주항로 복원과 준설, 개발에 책임을 지고, 준설까지 관리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은 9.19 평양선언 때 서해공동경제특구를 조성하고 한강(임진강) 하구를 공동으로 이용하기로 했다.

남포항과 해주항도 인천항처럼 외항시대 준비해야

인천항은 5.24조치로 남북 교역이 단절될 때까지 총4억4034만 톤을 처리하며 남북 경협의 중추적 역할을 했다. 남북 경협이 본격화하면 물동량은 크게 늘어 날 전망이다.

아울러 인천항만공사는 남포항 항로 복원도 준비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남북 교류 활성화를 위한 남북 경제협력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남포항의 경우 2002년부터 컨테이너부두를 건설해 현재 10개로 확장했다. 최대 5만톤 규모의 선박 접안이 가능하다. 벌크선의 경우 하루 2000 ~ 2500톤 처리가 가능하다. 북한항 중에서 평양화력발전소와 남포화력발전소가 인접해 인프라가 가장 풍부한 항만으로 꼽힌다.

향후 남북 경협이 본격화되면 개성공단 외에도 북한이 경제특구로 지정한 서해안 해주강령ㆍ평양ㆍ남포ㆍ신의주공단 등에서 남북 경협을 통한 물동량 창출이 기대되는 만큼, 남포항과 해주항 항로 준설에서 나아가 남포외항과 해주강령항 건설이 요구된다.

남북 경협 발전 시 북한도 외항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대동강 하류 남포항은 북한의 서해 관문인데, 하구가 막혀 있어 외항이 아니다. 남포 외항 개발에 인천항만공사가 국제 자본과 합작해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인천항도 남항이 개장하면서 외항시대를 열었고 성장하기 시작했다. 남항의 ICT(인천컨테이너터미널) 부두는 싱가포르와 삼성의 합작으로 탄생했다. 남포의 자매도시인 중국의 관문 톈진은 인천과도 자매도시이기때문에, 톈진항만공사와 합작하는 방안을 떠올릴 수 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