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오는 6월 1일 치르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한달 남았다. 광역자치단체장과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기초의회 의원을 직접 선출하는 것과 함께 지역의 교육을 책임질 교육감 선거도 함께 치른다.

교육감 선거는 2006년 12월 직선제가 도입되기 전에는 간선제로 치렀다. 유권자가 직접 선출하는 것이 아닌 학교운영위원들이 선출하는 간선제였다. 지방자치제가 확대되면서 교육자치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직선제가 시작됐다.

직선제 도입 후 각 시‧도에선 임기가 끝나면 선거를 실시해 2007년 부산에서 첫 직선 교육감을 뽑았고, 2008년 서울, 2009년 경기‧충남‧경북에서 따로 교육감 선거를 치렀다.

인천에선 2010년 5회 지방선거와 함께 처음으로 직선 교육감을 뽑았다. 당시 간선으로 두 차례 교육감을 역임했던 나근형 후보가 직선 교육감으로 당선됐다. 득표율은 25.4%였다.

이후 2014년 6회 지방선거와 함께 치른 교육감 선거에선 이청연 후보가 득표율 31.9%로 당선됐다. 2위 후보와는 4.6%포인트 차이였다. 후보 4명이 출마해 모두 20%를 넘겼다.

2018년 7회 지방선와 함께 치른 교육감 선거에선 도성훈 후보가 득표율 43.8%로, 29.8%를 얻은 2위 후보와 14%포인트 차이로 당선됐다. 총 3명이 출마해 모두 25% 이상을 득표했다.

이번 선거엔 현직 교육감인 도성훈 후보와 최계운 인천대 명예교수, 서정호 전 인천시의원, 허훈 전 인천하이텍고 교장이 출마했다.

교육감 선거의 경우 유독 선거 때마다 유권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선거라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교육감 투표용지에는 기호 없이 이름만 나온다. 기호가 없다보니 이름 순서가 선거구마다 바뀐다. 하지만 이를 아직 알지 못하는 유권자도 많다.

지방선거의 경우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광역의원 비례, 기초의원, 기초의회 비례와 교육감까지 총 7장을 투표해야 한다.

그렇다보니 여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는 교육감 투표용지에 첫 번째로 이름이 나오는 후보를 찍고 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는 두 번째로 이름이 나오는 후보를 찍는 일이 많다는 이야기도 계속 나온다.

2018년 여론조사기관 케이스탯이 지방선거 직후 유권자 사후 조사를 진행한 결과, 교육감 후보 이름과 공약을 모른 채 투표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21.2%에 달했다. 광역단체장은 7.5%라고 답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교육감 후보 이름과 공약을 알고 투표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41.3%였다.

때문에 교육감 선거를 정단공천제나 광역단체장과 함께 하는 러닝메이트제로 하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할 경우 정치화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교육감을 직선으로 뽑는 것은 교육자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감 선거는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는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거이다. 유권자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공약을 꼼꼼히 살피고 원하는 후보의 이름에 투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감 후보들도 좀 더 이름과 공약을 알리는데 노력해야한다. 선거관리위원회도 교육감 선거와 투표 방식을 더 적극적으로 알리는 활동을 펼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