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가 유통의 뿌리인 소·중 상인들을 망하게 하고 있다. 자신이 서민이면서 서민들과 가까운 곳에서 호흡하는 소·중 상인들이 대형마트 때문에 죽겠다고 아우성이다.

대형마트 한 곳이 들어설 때마다 재래시장 3곳이 망한다는 통계도 있다. 또한 2005년 중소기업청 자료에 따르면 대형마트가 1만8000여명을 고용한 반면, 이로 인해 재래시장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2만6000여개에 달한다.

더구나 대형마트 고용인력 대부분이 비정규직임을 감안하고,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과 발생하는 세수 대부분이 대형마트의 본사가 있는 서울로 간다고 감안할 때 대형마트가 지역에 기여하는 바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결국 지역의 소·중 상인과 재래시장의 희생으로 대형마트 사업을 하고 있는 대기업과 서울만 살찌우는 셈이다.

선거철에 정치인들은 마치 자신이 서민의 대변자인 냥 뻔질나게 시장을 방문하고, 사진 찍기에 열을 올리지만 정작 재래시장을 살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 정치의 계절이 끝나면, 오히려 재래시장이 활성화 되지 않는 원인을 소·중 상인들의 자구노력 부족 탓으로 돌리고 있다. 하기야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횡단보도 하나 놓는 것도 쉽지 않은데, 다른 것은 말해 무엇 하랴.

그러나 소·중 상인들이 국가 유통구조의 풀뿌리인 점을 감안하고, 서민임을 감안해 이들이 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문제는 간단하다. 소·중 상인들을 잡아먹고 있는 대형마트를 규제하면 된다.

재래시장 등 소·중 상인들의 현대화를 통해 대형마트와 경쟁하면 된다는 논리가 있다. 그러나 이는 부당하다. 대형 코끼리를 상대로 개미가 싸우는 형국이다. 경쟁이 되게 하려면 싸움의 규칙을 합리적으로 만들면 된다. 소자본과 대자본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자본의 대형마트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부평의 시민단체들이 대형마트 규제를 위한 600만 입법청원운동을 벌이고 있다니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부평지역만 해도 백화점을 제외하고도 대형마트가 5곳이나 된다. 부평의 소·중 상인들의 고통을 알만하다. 부평구 등 지방자치단체도 책임을 떠넘기거나 피할 일이 아니다. 소·중상인, 시민단체 등과 머리를 맞대고 소·중 상인을 살릴 방안을 간절히 찾아야 한다.

아울러 이번 총선에 나서는 후보들도 마찬가지다. 재래시장은 정치인들의 서민용 이미지를 만드는 사진관이 아니다. 서민들의 삶의 터전이다. 그런 의미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면 다른 무엇보다도 대형마트 규제법안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