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2월 18일, 192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200여명을 다치게 한 대구지하철 화재참사의 아픈 기억이 채 가시기도 전에 서울지하철 7호선에서 똑같은 양상의 지하철방화사건이 발생했다. 다행히 종착역 가까운 곳이라 승객이 적었고 나름대로 신속하게 조치해 인명사고는 없었지만 대형참사가 일어날 가능성은 충분했다.
인천지하철 1호선 운행을 담당하는 기관사인 내가 이번 사고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내 자신이 기관사이기도 하지만, 대구참사 당시 ‘기관사, 너희들은 살인마야!’라고 절규하던 대구참사 유가족들의 눈물과 비명소리가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되기 때문이다.

대구참사 직후 정부는 안전대책으로 2인 승무, 불연재 교체, 스크린도어 등을 이야기하며 금새 다 될 것처럼 소란을 피웠지만, 현재 진행중인 것은 불연재 교체뿐이며 그나마 절반도 채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인천시민은 매일 ‘살인객차’에 몸을 싣고 다닌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인천지하철은 경인전철 노선과 환승 등 제반 여건으로 인해 다른 지역의 지하철보다 훨씬 깊은 지하에서 운행되고 있어 만약 방화가 발생한다면, 게다가 대구참사처럼 역사의 전원이 끊기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대구참사 이상의 큰 참사가 일어날 것이 자명하다.
왜 자꾸 최악의 상황만을 이야기 하냐며, ‘만약’만 따지고 들면 문제되지 않는 게 어디 있겠느냐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루 수십만 명이 이용한다는 그 한가지만으로 ‘만약’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

이명박 시장은 “그런 대로 방재시스템은 갖추어져 있으나 담당직원들이 제 역할을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최선을 다했던 직원들에게 화재의 책임을 전가하려는 몰상식뿐만 아니라, 방화범 찾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실이 기관사의 한 사람으로서 안타깝기만 하다. 흡사 영화 ‘JFK’에서 공모암살의 희생양 「오스왈드」 찾기와 너무나 똑같기 때문이다.
물론 철저히 수사해 방화범을 처벌해야 하겠지만, 그 근본대책의 회피수단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 또한 정부는 천박한 경제논리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 지하철은 국민의 세금으로 건설된 것이다. 바꾸어 말해 지하철의 투자자는 국민인 것이다. 지하철의 수익성에 투자한 것이 아니라, 사회 공공성과 시민의 편의 제공에 투자한 것임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불연재 교체, 스크린도어 설치 등 시설안전대책은 예산타령에서 벗어나 박차를 가해 시행돼야 하며, 또한 시설물에 의한 안전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2인 승무’는 시급히 선결돼야 한다. 높은 기술력을 가진 유럽과 일본 지하철이 ‘2인 승무’를 하고 있는 것은 지하철 안전이 기술력이나 경제성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대구참사 당시 뒤쪽에 차장만 있었더라면…’ 하는 안타까운 후회는, 더 이상 후회로 그칠 것이 아니라 ‘2인 승무’라는 가장 근본적인 안전대책 마련으로 나가야 한다. 대구참사 당시 뒤쪽 칸에서 불이 났고 그때 차장만 있었다면 수백 명의 목숨을 살려낼 수 있었을 것이며, 이번 7호선 방화사고 역시 차장만 있었더라면 초기진화가 가능했던 일이다.

이번 7호선 방화사고는 ‘제2의 대구지하철 참사’에 대한 암시와 경고임에 분명하다. 정부와 언론은 오스왈드 찾기에서 벗어나 지하철 안전의 근본대책에 대한 분명한 행동을 보여야 하며, 그 시작은 ‘2인 승무제’ 도입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김회익
기관사/인천지하철노동조합 승무지회장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