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의 눈과 귀가 온통 비비케이(BBK) 문제와 삼성특검에 집중되어 있는 와중에 제17대 대통령선거가 본격화됐다. 후보 등록과 함께 사실상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하지만 바로 우리 지역에서 대통령선거와 동시에 치러지는 인천시의원 부평4선거구(청천1·2동, 산곡1·2·4동) 재선거를 알고 있는 유권자는 많지 않은 듯하다. 재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이 왜 다시 선거를 치러야 하는지 몰라, 그걸 설명하느라 한참이 걸린다’고  하소연할 정도다.

참고로 이번 시의원 재선거는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의원이 선거법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선거가 무효가 됐기 때문이다.

하기야 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뽑는 대통령선거와 일개 시의원 선거를 어찌 비교할 수 있겠는가. 이는 역대 선거 투표율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2002년 실시된 16대 대선에서 부평지역의 투표율은 64%정도를 기록했다. 반면 지방의원 유급제가 도입됐음에도 불구, 지난해 지방선거 투표율은 36%정도에 그쳤다.

그러나 지방선거에 대한 이러한 무관심이 지속될 경우 풀뿌리민주주의는 물론, 지역민으로서 유권자의 삶의 질이 나아지기는 쉽지 않다. 풀뿌리민주주의를 지방자치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유권자가 주인인 정치가 바로 풀뿌리민주주의다. 이러할 때 유권자가 지방선거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것으로부터 유권자가 주인인 정치, 풀뿌리민주주의는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내년 인천시의 한 해 살림살이 규모는 5조원에 달한다. 시민이 낸 세금이 주로 차지한다. 이 천문학적인 예산으로 시는 행정과 사업을 펼친다. 그리고 시의 행정과 사업이 오로지 시민들을 위해 올바르게 펼쳐지는가를, 공평하게 배분되는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권한과 의무는 많은 부분 시의원들에게 주어져 있다. 유권자가 선거라는 민주주의 절차를 통해 그 권한과 의무를 맡긴 것이다.

지방의원 선거에 참여하는 것은 유권자의 권한과 의무를 맡기는 행위며, 지역 유권자의 대리인을 파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물건을 고르는 것보다 더 신중하고 꼼꼼하게 후보자의 면면을 살펴봐야 한다.

역대 지방의원 선거를 되돌아보면, 후보자가 자신의 자리를 잘 못 알고 내세우는 공적 약속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마치 자신이 구청장이나 시장 선거에 나온 양 공약을 남발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자기 할 일도 모르는 대리인을 뽑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오는 19일은 17대 대통령을 뽑는 날인 동시에, 부평4선거구 시의원을 뽑는 날이기도 하다. 남은 선거기간에 진짜 어느 후보가 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리더십이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보길 유권자들에게 당부한다.

아울러 동시에 치러지는 시의원 재선거에도 관심을 갖고, 진짜 어느 후보의 약속이 믿을만하고 지역민의 대리인으로서 시의원 자격이 있는 인물인지를 꼼꼼히 살펴보길 당부한다. 
부도덕하고 딴짓이나 하는 지방의원을 뽑아놓고  후회하는 일은  그만하자.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