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석유가격이 배럴 당 90달러를 넘어 100달러를 향해 질주하고 있다. 석유 등 에너지를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제 석유가격의 고공행진은 우리 경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만, 특히 서민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가뜩이나 주름진 서민경제에 고유가는 독이나 다름없다. 이미 늦었는지 모르지만, 지금부터라도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

고유가 시대에 주목받는 것이 운송수단이다. 우리나라는 올 8월말 현재 자동차 등록대수가 1600만대를 넘어서고 있다. 인구 3명 당 1대, 1가구 당 0.9대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인천시는 올 6월 현재 83만대를 넘어서 인구 3.1명 당 1대, 1세대 당 0.84대를 보유하고 있다. 부평구는 올 6월 현재 16만대의 자동차가 등록돼 있으며, 인구 2.8명 당 1대, 1세대 당 0.8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도심에서 자전거 타기다. 도심에서 자전거 타기 생활화는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에 대비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인천과 부평의 대기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꿔낼 수 있다.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이 자동차에 있기 때문이다. 부평 대기오염에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81.5%에 달한다. 도심에서 자전거 타기 생활화는 고유가도 대비하고, 부평의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일거양득인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부평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등 시민단체들의 활동은 매우 의미 있어 보인다. 자전거 타기를 레저로서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생활로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고유가 시대와 환경이 최우선되는 시대를 대비하는 의미 있는 시민운동이다.

문제는 지방정부다. 부평 도심은 자전거 타기 생활화를 하기에는 위험천만하고 부적절하다. 행정당국자들은 인도에 줄긋기 식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어놓고 할 일 다 했다는 식이다. 그러면서도 자동차도로 내는 것은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다.

생각을 바꿔야 한다. 앞으로 국제유가가 높아지면 높아졌지 떨어질 가능성은 별로 없다. 그렇다면 자동차 중심의 교통정책은 설 자리가 없다. 사람중심, 석유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생활할 수 있는 교통정책으로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먼 미래의 일도 아니며, 엄청난 예산이 들어가는 큰일도 아니다. 패러다임만 전환하면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작은 일이다.

새로운 대체 교통수단을 만들어 내지 않는 한, 미래의 생활 교통수단은 자전거다. 그런 의미에서 인천시와 부평구를 비롯한 지방정부가 지금 해야 할 일은 자전거 전담 행정부서를 만드는 등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다. 다시 한 번 지방정부의 발상 전환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