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점자블록은 ‘멈추라’는 메세지를 가지고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면 지하철로 들어가는 입구에서부터 승강장에 이르기까지 이어진 노란 블록선을 볼 수 있다. 매일 습관처럼 이용하다보면 그냥 눈에 익어 지나치기 쉬운 노란 블록선은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블록’이다.
지하철 등 공공교통시설에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보행편의를 위해 점자블록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점자블록은 감지용 점형블록과 유도형 선형블록을 사용해야 한다. 점형블록은 시각장애인을 유도할 필요가 있거나 위험한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데 지하철 계단 입구나 화장실,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바닥에 설치해 장애인이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 발바닥이나 보행보조기구인 흰지팡이 끝으로 지면의 변화와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감지해 보행을 하는데, 이를 돕고 안전하게 길로 안내하는 것이 바로 유도형 선형블록이다. 점자블록은 눈에 잘 띄는 노란색이 많은데, 그 이유는 색을 변별하는 시각 장애인에게도 좋고 일반인에게도 이를 주지시켜 서로 통행에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점자블록이 시각장애인들에게는 보행의 안전을 위한 생명의 길인 셈이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이 블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거나 쉽게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비장애인들이 지하철 승강장 안에서 지하철을 기다리며, 장난삼아 점자블록을 걷는다든지, 지압용으로 삼아 계속 밟으며 걷는 것은 자칫 블록을 무디게 해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블록의 요철이 느껴지지 못하게 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큰 규모의 지하철역내 임대시설이나 지하상가에서는 판매 물건을 상점 밖으로 밀어내면서 점자블록을 가리는 경우도 많아 시각장애인의 보행 감지를 가로막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론 ‘구색맞추기’로 설치된 지하철 장애인 편의시설도 문제다. 환승거리가 긴 환승역에 제대로 이어지지 않은 점자블록 설치 문제나, 또 점자블록의 크기가 작아 인식하기 어렵고, 나가는 곳이라는 점자 블록 역시 몇 번 출구인지가 따로 표시되지 않아 개선책이 요구되기도 한다.
지하철 점자블록은 비장애인에게는 있으나 없으나 별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장치이지만 장애인에게는 ‘눈’과 같은 없어서는 안 될 시설물이다.

정책에 의한 개선책도 필요하지만 우선은 우리부터 지하철 점자블록을 관심있게 살펴보고 타인의 ‘생명선’을 쉽게 만지고 밟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