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의 국제선 출발편 비행기의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2010년 8.3%에서 2014년 17.8%, 2015년 1분기에만 26.1%까지 상승했다. 이미 항공안전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그 원인은, 우리나라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항공기에만 엔진과 부품 정비 이상의 중정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외국 항공사 항공기엔 중정비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세계 공항 서비스 평가에서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지만, 이 상태로 가다간 동북아시아 허브공항 선점을 놓고 중국ㆍ일본과 벌이는 경쟁에서 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정부가 이러한 상황을 알고도 인천국제공항의 항공기정비 산업 육성을 외면하고 있다는 데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항공안전 확보와 허브공항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항공기정비 산업 육성에 적극적이지만, 국토교통부는 그렇지 않다.

최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항공기정비 단지 조성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고, 중장기 사업계획으로 제4활주로 왼쪽에 있는 토지에 항공기정비단지를 조성하는 걸 구상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인천국제공항에 일단 저가항공 안전을 위한 운항정비시설을 올해까지 만들 것’이라고 한 뒤 ‘기초 정비와 같은 다른 부분은,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지방공항에 만드는 것으로 당초 구상해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이는 충북 청주와 경남 사천에 항공기정비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뜻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국토부 산하 공기업이기에, 국토부의 의견이 곧 인천국제공항의 항공기정비 사업 방향과 같다.

또한 국토부는 전경련과 함께 ‘항공기정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오는 5일 열 예정인데, 이 심포지엄에 인천을 배제하려했다. 이를 뒤늦게 인지한 인천시가 항의하자, 인천에도 토론자를 배정했다. 인천시는 이미 수차례 인천국제공항 항공기정비단지 개발 승인을 국토부에 요청했다. 이러한 목소리가 심포지엄에서 나오는 걸 차단하려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하루 1000편이 넘는 비행기가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고 있다. 2018년에 제2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 이용 항공기와 여객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2018년 2월에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 선수단과 관광객 이용도 대비해야한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의 항공안전은 정부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지방공항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적자에 허덕이는 현 상황은 정부가 지방공항 난립을 방조했기 때문이다. 그걸 모면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의 항공안전을 외면하는 것은 또 다른 화를 부르는 짓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