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인천경제 33% 인천항 활성화 방안 1. 인천항 3년 연속 200만TEU 달성

<편집자 주> 인천항이 개항된 지 올해로 133년 됐다. 133년 전 제물포항이 개항했을 때만해도 내항은 없었으며, 월미도는 섬이었다. 이젠 내항 외에도 남항ㆍ북항ㆍ신항까지 갖추고 있으며, 지난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37만TEU를 달성했다.

인천 항만산업이 인천 GRDP(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3%다. 하지만 구주와 미주를 오가는 국적 선사의 위기로 인천신항 활성화에 차질이 우려되고, 내항은 물동량 감소로 위기를 겪고 있다.

인천경제의 33%를 차지하는 항만산업을 육성하려면 인천항의 물동량을 창출하고, 인천항의 경쟁력을 확보해야한다. <인천투데이>은 그 방안으로 인천신항 배후단지에 대한 정부 재정투자 확보, 인천남항 배후단지 자유무역지대 지정, 중고차수출단지 확보, 내항 재개발 논란 출구전략 수립, 국제여객터미널 활성화와 크루즈 활성화 등의 국내외 사례와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백범 김구 선생의 노역이 깃든 곳 내항

[기획취재] 인천경제 33% 인천항 활성화 방안

1. 인천항 3년 연속 200만TEU 달성
2. 인천경제 33%, 인천항의 과제
3. 인천신항 활성화를 위한 배후단지 재정투자
4. 부산항 자유무역지대와
인천항 자유무역지대
5. 한중FTA 시대, 인천항이 갖춰야 할 것
6. 제주에서 배우는 인천항 크루즈 활성화대책
7. 내항재개발 출구전략과 내항 활성화 방안
8. 인천항 중고차산업 활성화 방안 
 
인천항은 위로부터 경인항ㆍ북항ㆍ내항ㆍ남항ㆍ신항을 갖추고 있다. 2018년 남항에 새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이 들어서고, 송도에 인천신항 1-2단계 공사가 마무리되면 그 규모는 지금보다 더 커진다.

인천항은 1883년(조선 고종 20년) 개항한 제물포항에서 비롯했다. 1902년 우리나라 최초로 121명이 제물포항을 출발해 해외이민을 떠났으며, 1903년 우리나라 최초로 팔미도 등대가 준공됐다.

어항 수준에 불과했던 제물포항은 1918년 제1도크가 준공되면서 인천항으로, 비로소 항만다운 모습을 갖췄다. 백범 김구 선생이 항일운동을 하다가 1914년 노역을 했던 곳이 바로 제1도크다. 인천항은 1966년부터 8년간 선석과 갑문을 포함한 항만 건설공사를 진행해 1974년 갑문을 갖춘 항으로 탄생했다. 이게 오늘날 내항이다.

내항은 1974년 4부두(현재 컨테이너부두ㆍ한국지엠 KD센터 위치) 준공을 시작으로, 1982년 7부두(인천역에서 월미도 가는 길 왼쪽)와 양곡 전용 싸이로 준공, 1985년 1부두와 8부두 준공, 1990년 5만톤급 갑문 증설, 1995년 6부두 준공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1부두는 제2국제여객터미널로 사용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에 따라 지난 2013년 내항 부두 8개 중 1부두와 8부두를 개방하기로 했고, 올해 4월 8부두 일부를 우선 개방했다. 그리고 현재 1~8부두 재개발사업 민간사업자를 공모 중이다.

북항은 2007년 현재 모습을 갖췄다. 전체 선석 23개인 북항은 주로 에너지화학과 관련한 돌핀(6개 선석)과 목재ㆍ철재ㆍ잡화부두로 활용되고 있다. 북항의 벌크화물 물동량은 내항 주변 주민들의 민원이었던 목재ㆍ고철 하역 기능이 북항으로 이전하면서 늘었다.

북항의 장점은 5만톤급 배도 접안이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반대로 조수간만의 차가 최대 10m에 달하기 때문에 소형 선박 접안 시 선석 충돌방지 범퍼에 끼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5000톤급 미만 선박 접안은 위험하다.

북항 유류돌핀은 연안항 유류돌핀과 더불어 인천의 에너지화학 산업과 항공운수 산업의 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북항 돌핀은 선석 5개(인천정유ㆍGS칼텍스ㆍ대한한공)에 부두 길이가 1841m이고, 연안항 돌핀은 선석 5개(SK정유ㆍS-오일)에 부두 길이가 558m다.

인천항, 제물포 포구서 동북아 국제항으로

▲ 인천 내항 전경.<사진출처·인천항만공사>
남항은 신항이 개장하기 전까지 인천항을 대표하는 컨테이너 전용 부두로 인천항 컨테이너물동량 창출에 크게 기여했고, 여전히 컨테이너물동량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남항은 1998년 12월 컨테이너(대한통운)부두 2개 선석이 들어섰고, 그 뒤 2004년 잡화(영진공사)부두 1개 선석이 들어섰다. 2004년에 ICT(=인천 컨테이너 터미널)부두 1단계 1개 선석이 개장했고, 2008년에는 2단계 1개 선석이 추가로 개장했다.

2005년 SICT(=선광 인천 컨테이너 터미널)부두 2개 선석이 들어섰고, 2009년 E1CT(=E1컨테이너 터미널) 1개 선석이 개장한 뒤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선광이 2015년 6월 인천신항 1-1단계 부두에 새 컨테이너부두를 개장하면서 SICT는 현재 운영하지 않고 있다.

남항은 또, 2018년에 국제여객 부두 공사가 끝나면 연안부두 옆에 있는 제1국제여객터미널과 내항 1부두에 있는 제2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합한 국제여객터미널(카페리)을 개장하고, 동시에 크루즈 부두가 들어서게 돼, 국제적 면모를 갖출 전망이다.

남항 국제여객터미널과 함께 인천항의 미래로 불리는 곳이 있으니, 바로 신항이다. 송도에 있는 신항은 1단계(컨테이너부두 3.55kmㆍ일반부두 0.84kmㆍ배후부지 248만㎡)와 2단계로 나뉘어 조성되고 있다.

우선 1단계 중 1-1단계 부두 길이는 1600m로, 이중 800m를 현재 한진이 A터미널로 사용하고, 나머지 절반을 선광이 B터미널로 사용하고 있다. 터미널 부지 면적은 각각 47만 8571㎡다.

선광이 지난해 6월 B터미널(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SNCT) 1단계 부두(420m, 29만 1687㎡)를 개장했고, 2017년 1월에 2단계 부두(380m, 18만 6884㎡)를 개장할 계획이다. 한진은 지난 3월 18일 A터미널 1단계 부두(길이 420m)를 개장한 뒤, 2017년 11월에 나머지 2단계 부두를 개장할 계획이다.

인천신항 선광터미널과 한진터미널의 현재 하역능력은 연간 12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다. 내년 11월에 1-1단계 부두(1600미터)가 모두 개장하면 연간 240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그 뒤 2020년까지 1-2단계로 선석 6개(부두 길이 1.7km, 하역능력 116만TEU)가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다.

10년 만에 두 배 성장, 성장속도도 빨라져

▲ 인천 신항 부두 일부분의 모습.<사진출처·인천항만공사>
개항 후 인천항의 중심은 내항에 불과했지만, 이후 남항에 컨테이너 부두가 추가로 들어서고, 2007년 북항이 개장하고, 올해 상반기 신항 1-1단계 절반이 개장하면서 전체 선석은 89개에서 126개로 늘었다. 인천항에서 선박 126척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항만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항로 개설ㆍ증설은 인천항의 물동량 창출로 이어졌다. 2005년 115만TEU를 기록했던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5년 237만TEU를 기록하며 두 배 이상 늘었고, 3년 연속 200만TEU를 기록했다.

그리고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100만TEU 달성 시점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인천항만공사(IPA)는 지난달 28일 100만 4497TEU를 기록하며 100만TEU를 넘어섰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약 2주 빠른 속도다.

인천항이 5월 중 컨테이너 100만개를 처리한 것은 처음 있는 일로, 인천항이 지난 2005년에 11월 22일 처음으로 100만 TEU를 달성한 것과 비교해보면, 약 6개월을 앞당긴 기록이다.

이 같은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 추세는 신항 추가 개장과 그에 따른 미주 직항로 개설, 신규 항로 확대, 중국과 동남아 지역 컨테이너 물동량의 꾸준한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당장 한진해운이 ‘해운경기 침체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을 이유로 인천사무소를 철수했고, 미주를 오가는 배는 국적 선사인 현대상선이 유일한데, 현대상선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미주와 구주(=유럽)를 기항하는 배가 없을 경우 인천항에 당장 무슨 일이 생기는 것은 아니나, 인천신항은 중국이나 일본의 보조항으로 전락해 성장세가 둔화될 수밖에 없다.

인천항이 안고 있는 과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내항은 물동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재개발사업과 부두 운영사 통합이 더해져 어려움을 겪고 있고, 신항 배후단지는 정부 재정투자 역차별로 경쟁력을 위협 받고 있다.

또한 수출산업의 효자노릇을 하는 중고차는 수출단지를 찾지 못해 애를 먹고 있고, 한ㆍ중FTA에 조응할 수 있게 인천항 배후에 자유무역지대를 확대ㆍ조성해야 하는 과제까지 안고 있다. 아울러 국제여객터미널과 신항을 활성화하는 것도 주요 과제로 꼽힌다.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