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3월 29일, 한ㆍ미 연합토지관리계획에 의거해 부평미군부대 캠프마켓이 평택으로 2008년까지 이전하기로 결정됐다. 1996년부터 반환(이전)운동을 전개한 시민사회단체와 시민 등은 이 소식에 매우 기뻐하며 하루 빨리 공원 등으로 조성돼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길 고대했다. 그러나 2008년을 지나고, 또 8년 가까이 지났건만 캠프마켓은 여전히 굳게 닫혀있다. 도대체 언제 반환되고, 또 언제 환경오염 치유와 공사를 거쳐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을지, 궁금할 뿐이다.

문제는 인천시 또한 구체적 반환 시점을 모른다는 데 있다. 지난 19일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시 도시정책담당은 ‘한ㆍ미 주둔군지위협정에 따라 확정된 캠프마켓 우선반환구역의 환경조사를 지난해 하반기에 실시해 현재 보고서를 작성 중’라며 ‘한ㆍ미 간 환경오염 치유주체를 결정하는 데 2~3년, 그리고 치유하는 데 1~2년이 걸려, 2020년에나 인천시가 부지를 사용(=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또한 부평미군기지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나머지 구역은 ‘캠프마켓의 평택 이전이 완료된 후 환경오염 치유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토지 매입을 진행할 것’이라며 ‘평택 이전 완료 시점은 2018년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여기다, 시민들이 바라는 장고개길 조기 개설이 관련 예산을 확보했음에도 무위로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부지가 아직 반환되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말 그대로 ‘부평미군기지를 공원 등으로 개발할 수 있을 때’는 ‘전망’이나 ‘예상’ 속에만 있는 상황이다.

한ㆍ미 당국 간 협의로 진행하는 일이기에, 시가 정보를 취득하거나 개입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시가 너무 소극적으로 대응한다고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2002년 10월 이전 계획이 발표된 부산 하야리아 기지가 2006년 폐쇄되고 2014년 공원 조성이 완료돼 그해 5월에 개장된 것과 비교해도 캠프마켓의 반환은 너무 더디다.

미군ㆍ국방부와 연계돼있어 인천시의 사업 추진이 어렵다면, 시민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해 시민의 힘을 모아야한다. 아울러 지역 국회의원들의 지원을 적극 이끌어내야 한다.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정유섭(부평갑) 의원은 시가 운영하는 ‘캠프마켓 반환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시민참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캠프마켓 조기 반환을 위해 여야 국회의원과 시민사회, 시와 부평구가 함께하는 협의기구를 구성하고, 이 기구가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시의 현안 중에 부평미군기지 반환은 우선해야할 일임에 틀림없다. 시가 적극적으로 시민의 힘을 모아 대응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