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나 지방정부 할 것 없이 지역균형발전을 이야기한지 오래다. 인천시는 현재 신도시와 원도심의 격차를 해소하는 게 큰 과제라 할 수 있다. 신도시와 원도심의 격차는 경제생활과 주거환경, 교통, 교육과 보육, 건강 등, 여러 분야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격차는 줄지 않고 오히려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 산하 기관인 인천발전연구원이 지난해 수행해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보고서가 눈길을 끈다.

이 연구는 인구사회ㆍ산업경제ㆍ물리환경으로 나눈 진단지표를 가지고 각 지역들이 얼마나 쇠퇴했는지를 복합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복합쇠퇴지수로 환산해 어느 지역이 가장 쇠퇴했는지 순위를 매겼다.

그 결과를 보면, 복합쇠퇴지수가 높은 지역들은 인천의 원도심으로 불리는 중구ㆍ동구ㆍ남구 전역과 부평구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돼있다. 경인철도 인천역~주안역~부평역에 이르는 역세권 주변과 서구 가정동~부평구 백운역~남동구 만수동에 이르는 S자 녹지축 주변의 구릉지에 형성된 지역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1980년대 이전에 토지구획이 정리된 경인고속도로 주변과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쇠퇴수준을 보였다. 또한 쇠퇴현상은 전통적인 원도심 뿐만 아니라 부평구와 서구 일대에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이것이 남동구와 연수구 일부 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어느 지역이 쇠퇴했고, 쇠퇴하고 있는가?’만을 보고자한 것은 아닐 것이다. 쇠퇴하고 있는 데가 어디인지는 이미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 쇠퇴 지역을 그냥 나두면 문제가 더 심각해지니, 서둘러, 그리고 계획적으로 정비 또는 개선하자는 취지이다.

원도심의 쇠퇴는 단기적으로 신 개발지와 경제적ㆍ생활적 불균형을 초래해 지역사회 갈등 요인이 된다. 장기적으로는 원도심의 자생력을 상실시켜 지역 격차가 더욱 커지고, 급속한 공동화로 인천 전체의 발전이나 경쟁력 향상을 가로막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시 외곽지역 신규 개발과 경제자유구역 투자 유치가 자신의 삶의 질을 높인다고 생각하는 시민은 거의 없다.

인천발전연구원이 지적했듯이 외곽지역의 신규 개발을 지양하고, 원도심 중심의 도시재생으로 정책을 전환해야하는 이유다. 시가 도시재생 정책을 추진하지 않은 건 아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원도심 재생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부수고 새로 짓느라 원주민을 쫒아내는 재개발이 능사는 아니다. 지역 특성을 잘 고려해 자생력과 지속성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실행해야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