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노동운동의 메카, 인천의 노동자 교육을 혁신하다 5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지역일반노동조합 교육사업

<편집자 주> 대한민국의 노동자 1500만명과 그들의 가족을 단순합산하면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동자와 직ㆍ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노동조건과 노동자의 삶의 질이 대다수 국민에게 끼치는 영향은 실로 크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전국적으로 노동조합이 만들어지면서 노동조건 향상이 경제의 선순환으로 내수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노조 설립과 운영의 동력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 소모임을 기본으로 하는 노동자 교육이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시대 이후 노동운동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고, 이와 함께 노동자의 삶은 황폐화되고 있다. 노조 활동의 위축과 노동교육의 부재로 인해 경제의 선순환 고리가 끊긴지 오래됐으며, 비정규직 양산과 실업률 상승으로 전체 세대가 고통 받고 있다.

<인천투데이>은 ‘노동자교육기관’과 함께 현 노동자 교육을 진단하고 21세기에 맞는 노동자 교육의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번 호에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부산본부 부산지역일반노조의 송영수 교육위원 인터뷰를 정리했다. 다음 호에선 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와 현대자동차지부를 다룰 예정이다.

중소ㆍ영세ㆍ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결체, 지역일반노조

[기획취재] 노동운동의 메카, 인천의 노동자 교육을 혁신하다

1. 인천지역 노동자 조직 현황
2. 인천지역 노동자 교육의 현주소
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교육사업 현황과 전망
4.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충북지역본부의 교육사업 모범사례
5.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지역일반노동조합 교육사업
일반노동조합이란 직종ㆍ산업ㆍ기업별로 노조를 만들기 어려운 노동자들이 직종ㆍ산업ㆍ기업을 초월, 전국 또는 일부 지역을 기반으로 해 만든 노조를 말한다. 노동자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 조직의 폭이 넓다. 반면에 근로형태의 차이 때문에 조합원들의 연대의식이 약하고, 행동 통일을 이루기도 쉽지 않다. 단체교섭이나 단체협약 체결에서 직종이나 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부산지역일반노조는 IMF 외환위기 이후 고용 불안과 노동조건이 생계를 위협할 만큼 최악의 상황으로 몰려도 대응이 어려운 중소ㆍ영세 사업장 노동자와 비정규 노동자들이 단결할 수 있는 노조를 만들자는 취지로 2000년 4월 결성했다.

출범할 때 부산의 중소ㆍ영세ㆍ비정규 노동자들을 모두 조직해 노동조건 개선과 고용 안정을 이루고 자본과 정권에 대항해 승리하는 강력한 조직을 만들겠다고 선포했다. 또한 업종이나 직종보다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노동운동의 발판을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고 했다. ‘노동자는 하나다’ 이것이 부산지역일반노조를 비롯한 일반노조의 구호이자 정체성이다.

송영수 부산지역일반노조 교육위원은 “산업별 노조는 실패했다. 민주노총은 대공장ㆍ정규직 위주의 노조다. 그들이 노동운동을 말하는 것 자체가 공허하다. 전국일반노조를 강화해 노동운동을 새롭게 해야 한다. 인천에도 건강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인천지역일반노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한 뒤 “내년엔 민주연합노조와 공동으로 투쟁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무기계약직으로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행정자치부에 교섭을 요구할 생각이다. 일반노조는 전국적으로 공동행동을 하지 않으면 승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역을 넘어 전국의 단일한 조직으로

▲ 송영수 부산지역일반노조 교육위원.
부산시청 앞 광고탑에서 두 사람이 200일 넘게 농성하고 있다. 한 명이 발 뻗고 눕기도 힘든 좁은 곳이다. 두 명 중 한 명이 송복남 부산합동양조노조 총무부장인데, 부산지역 막걸리 ‘생탁’으로 유명한 양조회사가 노동관계법을 어겼고, 부산지역일반노조 조합원들은 근로기준법을 지키라고 2년째 투쟁 중이다.

“일반노조에 소속된 사업장은 장기투쟁을 하는 곳이 많다. 장기투쟁을 하는 사업장이 많아지면, 노조 전임자로 감당하기 어렵다. 노조 결성 초기에는 조합원이 800명을 넘었는데 지금은 600여명으로 줄었다. 신규 조합원도 있지만, 장기투쟁으로 어려워져 탈퇴하는 사업장도 많다”

송영수 교육위원은 현실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민주노총이 투쟁보다는 개혁이란 미명 아래에 타협한 측면이 있어, 투쟁의 전통이 무너져 지금의 노동운동이 어렵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역 연대와 변혁정신을 부활시켜야한다. 지역 연대로 전국 노조를 조직하는 게 옳다고 생각해 내년을 목표로 전국 단일조직을 준비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비정규직을 조직해 대정부투쟁을 벌여야하는데, 대부분 일반노조를 조직하는 형식으로만 생각했다. 현재 업종 비정규직 조직인 덤프(트럭)ㆍ화물ㆍ학교 비정규직 등의 연맹별 비정규직 조직이 있지만, 그들도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면 정규직 노조와 다르지 않게 다른 노동자에 대한 관심이 없어진다. 일반노조는 지역 연대를 활성화하고 자본주의에 대한 변혁적 노동운동을 해야 한다. 이것 없이 덩치와 교섭력만 키우겠다는 것은 공허한 외침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지역일반노조는 공동요구ㆍ공동교섭ㆍ공동투쟁을 제안했다. 송 교육위원은 전국지역일반노조협의회(이하 일반노협)에 속해 있는 충남지역일반노조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고 했다.

“충남지역일반노조는 교육활동을 열심히 한다. 조합원은 한 달에 한 번, 간부는 2주에 한 번, 핵심간부는 1주일에 한 번씩 교육한다. 환경ㆍ청소용역 노동자와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 노동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임금인상투쟁의 한계에 봉착했다. 전국의 노동자들이 같이 투쟁하지 않는 한, 근본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객관적 현실을 인식하고 있다. 간부 교육에 집중한 덕택으로 의식이 건강한 간부가 많다. 그들이 왜 일반노조가 중요하고 노동운동이 중요한지를 조합원들에게 잘 교육하고 안내하고 있다. 노동운동을 한다는 건 세상을 변혁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일반노협 교육위, 전국 단일노조 건설 위해 매진

▲ 전국지역일반노조협의회(이하 일반노협) 교육위원회는 평등사회노동교육원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일반노협 실정에 맞는 교재를 개발했다. 사진은 ‘노동자란 누구인가’ 학습교재의 일부분.
일반노협에 함께하는 지역일반노조들의 교육위원들이 2013년부터 월 1회 이상 회의와 교육, 교재 편찬을 위해 모였다. 일반노협은 2013년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2013년을 ‘일반노협 교육 활성화의 해’로 선언하고 이를 위해 교육기획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그 이듬해 일반노협 교육위원회를 결성해 사업을 벌이고 있다. 송영수 교육위원은 부산지역일반노조 대표로 일반노협 교육위원회에 참가하고 있다.

“일반노협 교육위 참석자들은 지금의 민주노총 중심의 노동운동이 아닌 새로운 노동운동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일치를 봤다. 그러기 위해서 일반노조를 바로 세우고 전국화하기로 결의했다. 지역일반노조 조합원들이 전국 단일노조로 가면서 노동운동을 바로세우는 주체로 서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일해야한다는 토론을 했다”

일반노협 교육위원회에서는 다양한 교육사례를 수집했고, 직접 수강생으로 참여하기도 해 일반노조에 맞는 교육 전형을 세우려했다. 그 결과, 평등사회노동교육원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지역일반노조에 맞는 교재를 개발했고, 동일한 교재로 일반노협 소속 지역일반노조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 참여형 토론 중심의 교육은 총12강으로 구성됐으며, 일반노협 교육위원회와 평등사회노동교육원은 소모임 학습을 운영할 강사단 훈련을 진행했다.

12강 교육 내용은 ▲노동자란 누구인가 ▲일터와 삶터 ▲한국 사회의 현실 ▲노동조합이란 ▲한국 노동운동사 ▲일반노조운동론 등이다. 교육위원회의 교육으로 양성된 강사들은 또 다른 소모임 학습을 운영할 강사들을 교육한다. 그렇게 강사들을 계속 양성해 일반노조 전체 조합원을 교육할 학습 소모임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들의 시도가 어떤 결과를 나을지 지켜볼 일이다.

※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