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한국 산업화의 역사, 부평ㆍ주안 혁신 산단의 방향은 7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의 수혜 도시 창원

<편집자 주>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인천엔 산업정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평가가 계속 나오기 시작했다. 최기선 전 인천시장 때부터 추진한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만 잘 되면 지역 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지역 경제도 활성화될 것처럼 위정자들은 호들갑을 떨었다. 지금으로 보면 정의당을 빼고 여야 모두 그랬다.

물론 미래를 위한 투자는 필요하다. 하지만 경제자유구역 중심의 경제정책은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지금까지 인천 경제를 이끌어온 산업은 뿌리산업이다. 그 뿌리산업이 가지고 있는 고용효과와 경쟁력은 절대 낮지 않다. 그럼에도 인천의 위정자들은 ITㆍBT와 금융업이 향후 인천의 먹거리라고 십수년간 목소리를 높여왔다.

대기업을 인천에 유치해도 고용효과는 얼마 되지 않는다. 반면, 갈수록 활동하기 힘든 기업체들은 다른 지역으로, 심지어 외국으로 이전하고 있다. 그 자리를 고층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이 차지한다. 일자리가 없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인천을 자립형 도시가 아닌 다른 지역에 의존하는 도시로 만든다.

한국 수출산업의 일번지로 출발해 국내 최고의 도심형 첨단 산업단지로 도약을 꿈꾸는 부평국가산업단지가 지정된 지 올해로 50년 됐다. 이에 <인천투데이>은 ‘한국 산업화의 역사, 부평ㆍ주안 혁신 산단의 방향’이란 주제를 가지고 10회에 걸쳐 보도한다.

기계 산업의 산 역사, 창원산단

[기획취재] 한국 산업화의 역사, 부평ㆍ주안 혁신 산단의 방향은

① 인천경제의 뿌리 부평ㆍ주안산단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상)
② 인천경제의 뿌리 부평ㆍ주안산단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하)
③ 전자산업의 요람, 구미
④ 대한민국 1호 수출현장, 구로공단(상)
⑤ 대한민국 1호 수출현장, 구로공단(하)
⑥ 중소기업의 자존심, 반월ㆍ시화공단
⑦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의 수혜 도시 창원
경공업에 의존하던 한국의 산업구조가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바뀐 것은 1970년대 중반 이후다. 경공업만으로는 경제 성장과 자주국방을 할 수 없다는 국내외적 여건에 따른 것이다. 당시 정부 주도로 철강ㆍ기계ㆍ석유화학 산업의 육성이 추진됐다.

경제적 요인도 있었지만, 대외적ㆍ정치적 지각변동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으로 정부의 정책 변화를 가져왔다. 북한이 먼저 중화학 육성정책을 펴면서 고도의 경제 성장을 만들어냈다. 여기다 미국이 아시아에서 한 발 빼려는 움직임까지 보였다.

1970년 아시아 방위는 아시아인이 책임져야한다는 ‘닉슨독트린’이 발표되고, 주한미군도 일부 철수했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중화학 육성정책으로 방위산업 육성을 추진했다. 방위산업을 포함한 중화학공업 육성을 위해선 대규모 중화학공업 단지가 필요했다. 이렇게 탄생한 국가산업단지가 울산과 창원산단이다.

1973년 착공된 창원산단은 국내 기계 산업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최초의 계획도시로 도로ㆍ항만 등 산업기반시설이 우수하다. 부산과 울산, 대구 등 주변도시와 산업집적벨트까지 이뤘다. 여기다 남해고속도로ㆍ김해공항ㆍ마산항ㆍ부산 신항만 등, 교통 인프라도 우수하다.

자주국방 실현을 위해 주로 국내 대기업들이 중심이 돼 기계 산업 관련 공장들이 들어섰다. 대기업만 41개다. 기계 관련 입주기업이 82%를 차지한다. 대기업 41개사가 생산의 78%를 차지한다. 두산ㆍ효성ㆍLG전자ㆍ삼성테크원 등이 있다. 이중 창원에 본사를 둔 대기업만 20개사 달한다. 섬유와 방직, 제당 등으로 돈을 번 대기업들은 처음엔 경험과 기술력 등이 일천한 기계 산업에 뛰어들지 않았는데, 정부는 금융ㆍ세제에서 파격적인 혜택을 제시했다.

성장세를 보이던 창원산단은 1980년 석유파동과 국제적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시련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기계부품의 국산화와 관련 산업 투자 증대 등으로 고속성장을 거듭했다. 1990년대엔 기계 산업의 내수 증대 등으로 산업전기ㆍ수송 기계 주도로 고속성장을 이룩했다. 2014년 말 기준, 창원산단엔 2366개사가 입주해있고, 이들은 연간 57조 4000억원을 생산했다. 수출액은 193억 달러 규모였다. 고용인원은 19만 4000명에 달했다. 경상남도 총생산의 약 56%, 수출의 약 38%를 차지했다.

‘인더스트리 4.0’ 실험 중 ICT 활용, 생산 공정 통합ㆍ관리

▲ 창원 국가산업단지의 모습. <한국산업단지공단 제공>
이런 창원산단도 기계 산업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연평균 1.2% 성장에 그쳐, 전국 평균 8.5%에 크게 밑돌았다. 핵심 부품의 국산화 저조와 IT융합 수준 저조, 제조 부분에 과도한 집중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창원산단은 조성 40년을 경과하면서 ▲생산기능 중심의 제조업 배치 ▲혁신역량 기관 분산 배치 ▲단지 노후화로 고급인력 취업 기피 ▲노동자의 정주여건 취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한국산업단지공단 등은 구조고도화 사업 21개에 총8529억원을 투입해 첨단기계 산업 허브로 창원산단을 재창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부적으로 산학융합지구 조성(300억원), 혁신지원센터 구축(100억원), 노동자복지타운 조성(69억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뿌리 산업 활성화도 추진 중이다. 생산하는 기계의 품질을 결정하는 뿌리 산업 활성화 없이는 기계 산업 전반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창원산단에는 주조ㆍ 금형ㆍ용접ㆍ소성가공ㆍ표면처리ㆍ열처리 등, 6대 뿌리 산업의 비중이 높다. 금형 155개사, 표면처리 137개사 등이 포진해있다.

여기다 수도권 다음으로 산업 용지 가격이 높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지를 확장할 계획이다. 산단 내 유휴 부지를 활용해 기계 산업의 입지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2500억원을 투입해 상복공원 주변에 첨단공업시설 부지, 안민중학교 주변에 연구ㆍ개발(R&D)센터와 지원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창원산단은 ‘인더스트리 4.0’ 실험에 들어갔다.

창원산단 관계자는 “경상남도와 창원시 등은 창원산단의 발전 방향 모델을 독일로 잡았다. 주력이 기계 산업인 만큼 기계 산업 강국인 독일이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을 모델로 여러 실험에 들어갔다. IT업체 등을 유치해 IT와 기계 등을 융합하는 새로운 도전을 시도 중이다”라고 말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따로 따로 분리된 생산 공정을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ㆍ관리하는 것이다. 낭비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는 등의 생산성 혁신이 핵심이다.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