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노동운동의 메카, 인천의 노동자 교육을 혁신하다 1. 인천지역 노동자 조직 현황

 

<편집자 주> 대한민국의 노동자 1500만명과 그들의 가족을 단순합산하면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동자와 직ㆍ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노동조건과 노동자의 삶의 질이 대다수 국민에게 끼치는 영향은 실로 크다.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전국적으로 노동조합이 만들어지면서 노동조건 향상이 경제의 선순환으로 내수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노조 설립과 운영의 동력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 소모임을 기본으로 하는 노동자 교육이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시대 이후 노동운동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고, 이와 함께 노동자의 삶은 황폐화되고 있다. 노조 활동의 위축과 노동교육의 부재로 인해 경제의 선순환 고리가 끊긴지 오래됐으며, 비정규직 양산과 실업률 상승으로 전체 세대가 고통 받고 있다.

<인천투데이>은 ‘노동자교육기관’과 함께 현 노동자 교육을 진단하고 21세기에 맞는 노동자 교육의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인천지역의 노동자 분포와 노조 조직 현황 등, 객관적 상황을 분석해봤다. 다음 호에선 인천지역 노동자 교육의 현주소와 이와 관련한 노조 전임자들의 고충과 고민을 다룰 예정이다.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부평ㆍ주안공단 시작으로
인천은 산업화 도시로

박정희 정권은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전국에 산업단지를 조성했다. 1964년 구로공단을 시작으로 1965년 부평공단, 1969년 주안공단이 건설된다. 남동공단은 1986년 산업자원부 고시로 공업 유치지역으로 지정된 후 조성해 1997년 2월 남동국가산업단지로 준공됐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의 통계자료를 보면, 2014년 12월 말 기준으로 부평ㆍ주안공단의 고용인원은 2만 6602명이고, 남동공단은 9만 1750명이다. 이 국가산업단지들 이외에 인천에 조성된 산업단지는 강화하점일반산업단지, 2012년 연수구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첨단지식정보산업단지로 조성한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 남구 도화동 일원의 인천기계산업단지, 서구 가좌동 일원의 인천일반산업단지와 경서동의 인천서부일반산업단지, 청라지구일반산업단지가 있다, 지난해 3월 검단일반산업단지가 준공 인가를 받았다. 인천지역 전체 산업단지의 고용인원은 약 15만명이다.

한편, 올해 9월에 발표된 통계청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사업체 수는 18만 3754개이고 종사자수는 93만 7211명이다. 인천상공회의소 홈페이지에는 그중 제조업의 비율이 22만 8556명인 26.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도소매업(14%)과 숙박음식업(10%)이 그 뒤를 이었다. 기타로 분류된 업종들의 종사자 수는 26만 6817명으로 30%를 넘었다. 기타에는 전기ㆍ가스ㆍ수도ㆍ금융ㆍ공공행정ㆍ사회복지서비스 등, 공공서비스 영역이 해당한다. 민간이나 공공영역의 서비스업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인천지역 노동계 관계자들은 인천지역의 노동자 수를 80만명으로 어림잡는다.

인천, 노동운동의 메카로 자리 잡다

▲ 1985년 4월 22일. 사측과 임금형상중인 대우자동차 노동자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당시 교섭대표 중 한 사람이 홍영표 국회의원이다. <사진·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980년 광주항쟁 이후 5.17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은 노동조합을 강제 해산하고 노조 간부들을 탄압했다. 이에 맞서 노동자들은 친목모임에서 학습소모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모임을 만들어 결속했다.

1984년 택시노동자들의 총파업을 시발로 전국적으로 신규 노조를 결성하고 임금인상투쟁을 벌였다. 1985년 부평 대우자동차(현 한국지엠) 노동자들의 투쟁은 대규모 남성 사업장 노조의 힘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벌어진 7ㆍ8ㆍ9월 노동자대투쟁 기간에 전국에서 건설된 노조 수는 1060개였다. 이 대투쟁 기간에 발생한 노동쟁의 건수는 3458건으로 하루 평균 40여건씩 터졌다.(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3, 박세길 지음) 가히 봇물 터진 기세였다.

1980년대, 이른바 운동권 학생들이 집단적으로 노동현장에 투신했다. ‘위장취업자’나 ‘학출’ 등으로 일컬어진 이들의 수가 전국적으로 1만명 정도라 추정하기도 한다.(1980년대, 변혁의 시간 전환의 기록 1ㆍ2, 유경순 지음) 1980년대 노조 건설과 노동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배경에서 이들의 활동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1987년 민주항쟁을 겪은 운동권 학생 등은 공단이 조성돼있는 인천으로 와 노동운동을 했으며, 대표적인 조직이 1987년 건설된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인민노련)이다. 전ㆍ현직 국회의원과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명망가의 상당수는 그 당시 인천에서 노동운동을 경험했다. 인민노련 활동을 했던 사람 중에는 정의당 소속의 노회찬 전 국회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의 송영길 전 인천시장이 있다. 인천이 노동운동의 메카라는 명성을 얻은 것은 이때부터다.

노조 조직률 10%도 안 돼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9월 전국 노조 조직 현황을 분석해 만든 자료에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약칭 한국노총) 조합원 수가 83만 9976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약칭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62만 6035명으로 나와 있다. 이 두 노총에 소속되지 않은, 개별 사업장 노조 조합원수는 38만 1575명으로 돼있다.

한국노총의 모체는 1946년 3월 10일 결성된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약칭 대한노총)이다. 대한노총은 총재로 이승만 대통령을 추대하고 반공단체로서 기능을 했으며, 1960년 한국노총으로 개칭했다.

한국노총 인천본부는 1962년 설립됐다. 그때는 인천 조직이 별도로 없었고 경기도 협의회에 포함됐다. 1981년 인천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인천직할시 협의회로 개편됐고, 1990년 인천본부로 그 명칭이 변경됐다. 현재 한국노총 인천본부는 산업별 조직 19개와 사업장 조직 209개를 갖고 있으며, 조합원 수는 총3만 3000여명이다.

민주노총 인천본부는 1988년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인노협), 1993년 인천지역노동조합대표자회의(인노대)를 거쳐 1995년 민주노총이 건설되자 그 이듬해인 1996년 1월 창립했다. 올해 2월 기준 가맹단체 13개와 직가입 노조를 포함해 조합원 수는 총3만 3209명이다.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면, 1965년부터 최근까지 노조로 조직된 노동자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89년이었으며, 193만 2415명이었다. 외환위기가 있던 1998년에 140만 1940명으로 최저를 기록했으며, 2013년엔 184만 7586명으로 집계됐다. 조직 대상 노동자 수를 1798만 1000여명으로 했을 때, 조직률은 10.3%인 것이다. 미국ㆍ영국ㆍ일본ㆍ대만 등과 비교했을 때, 이는 현저히 낮은 조직률이다.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