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제를 이야기할 때 항만과 항공 산업을 빼놓을 수 없다. 국제 항만과 공항이 있고, 그것들이 차지하는 경제 비중이 매우 크기에 그렇다. 하지만 인천시의 항공 산업 정책은 없는 것이나 다를 바 없어, 걱정이다. 시는 항공 산업이 인천의 8대 선도 산업의 핵심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시가 내년에 인천국제공항 발전과 항공 산업 육성에 쓰고자 하는 예산은 11억원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시 해양항공국이 지난 15일 개최한 ‘2016년도 예산 편성을 위한 해양항공분야 인천시 주민참여 예산정책 토론회’에서 드러났다. 시 해양항공국이 발표한 2016년도 항공 분야 예산안을 보면, 항공 산업 육성 기본계획과 기반구축 용역비 3억원, 인천테크노파크 항공자동차센터 항공 산업 육성 지원금 3억원, 항공 산업 산학 융ㆍ복합 클러스터 조성비 5억원을 합해 11억원이 전부다. 시가 인천국제공항에서 징수한 지방세 약 361억원의 3% 수준이다.

시가 항공 산업 정책을 어떻게 펴는지는 시의 행정조직에서도 엿볼 수 있다. 해양항공국 직원 110명 중 항공 산업을 전담하는 항공산업팀 직원은 4명뿐이다. 해양항공국의 주무부서인 항만공항정책과는 그 명칭에 ‘공항’을 포함했을 뿐, 예산과 사업 우선순위 모두 항만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항만공항시설과에 공항이나 항공 산업 관련 예산은 한 푼도 없다. 내년에 추진할 사업은 자월면 해수욕장 모래 유실 방지 사업(약 6억원)과 화수부두 기반시설 사업(9억 9500만원)이 전부다. 모두 항만 분야다.

시가 항공 산업을 8대 선도 산업의 핵심으로 정한 것은, 항공 산업이 차세대 고부가가치 산업인 데다 연관 산업이 많아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시가 항공정비 산업 육성을 위해 올해 4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양해각서 체결을 추진한 것도 그 일환이다. 하지만 이 양해각서 체결 추진은 국토교통부에 막혀 무산됐다.

이를 놓고 시 항만공항정책과의 항공 산업 이해와 지원이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항만공항정책과의 업무가 항만에 편중돼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참여를 지속적으로 원했다. 공항공사 운영에 참여함으로써 인천의 몫을 찾겠다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도 항공 산업 정책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 인천국제공항 주변 항공정비단지와 물류단지 조성, 한ㆍ중 비자면제협정 체결, 항공자유화로 항로 증설, 공항 4단계 공사 조기 확정 등에 시가 적극 지원하고 나서야한다. 그러기 위해선 항공 산업을 전담할 행정조직과 인력, 예산을 갖춰야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