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인천대, 분쟁사학서 국립대학법인으로 (마지막)

<편집자 주> 국내 최대 사학으로 비리가 끊이지 않아 학내 구성원과 갈등을 지속했던 선인학원은 1994년 시ㆍ공립화 됐다. 선인학원이 한때 거느린 학교는 14개, 그곳에 다닌 학생이 3만 6400여명, 교직원이 1400여명에 달했다. 1980~90년대 인천은 ‘노동자의 도시’로 불렸다.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사람이 많았던 인천엔 맞벌이 부부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맞벌이 부부 자녀들이 다닌 학교의 상당수가 선인학원 수중에 있었다. 이로 인해 인천 교육은 추락했다. 선인학원이 지금까지 그대로 존치됐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국내 최대 사학이며 분쟁 사학에서 시립대학교로 출범하면서 안정을 찾은 인천대는 성장을 거듭했다. 갈등이 사라진 대학 교정엔 학생들의 자유로운 자치활동이 보장됐고, 교수들 역시 연구와 학생 지도에 전념했다.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부패 사학 집단이 사라지자, 교직원들 또한 행정적 지원에 전념할 수 있었다.

물론 시립대 초기엔 갈등도 있었다. 선인학원 설립자 백인엽을 추종했던 교수와 교직원을 어떻게 할지를 놓고 학내 구성원 간에 갈등이 있었다. 인천대 교수 25명, 인천전문대 교수 27명이 임용에서 제외됐다. 이들은 집단반발을 했다. 또한 시립대 초기 학생들과 대학당국이 갈등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인천대는 시립대 전환과 함께, 교수 41명을 신규 채용하고, 열악한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인천시는 대학운영위원회를 구성해 대학의 발전 전망 등을 논의했다. 인천지역 우수한 학생 유치를 위해 인천지역 고교 출신의 경우 입학금 전액을 면제하고, 인천지역 출신 신입생의 비율을 50%정도로 끌어올렸다.

▲ 1986. 인천대학교학원민주화투쟁 당시 모습.<사진·디지털인천남구문화대전> 선인학원의 시공립화 투쟁의 주된 동력은 인천대 학생들이었다. 여기에 교수, 교사와 일부 고등학생, 시민사회와 함께 했다. 한국 민주화운동 가운데, 학원민주화는 민주화의 내용을 가늠하는 척도나 다름없다. 1979년 개교한 인천대의 학원민주화투쟁 또는 학원자주화 운동은 학원의 민주화 투쟁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사례다.


인천대와 인천전문대 통합, 그리고 송도 이전

인천대와 인천전문대 구성원들은 시립대학임에도, 대학 규모가 작아 장기적으로 동북아의 중심 대학으로 성장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또한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로 이전을 추진했다. 대학 통합과 송도 이전이 진통을 겪지만, 모두 추진됐다. 2010년 3월 2일 통합대학 출범식과 입학식이 송도 캠퍼스에서 거행됐다. 이로써 인천대 입학정원은 1680명에서 1000여명이 늘어난 2680여명이 됐다. 전체 정원은 1만 3000여명이 됐다.

이후 인천대는 인천시민의 대학으로 제2의 도약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인천학연구원을 개원했다. 인천학연구원은 지역의 역사ㆍ문화ㆍ예술ㆍ교육ㆍ환경과 지정학적 특수성에 대한 체계적 연구수행을 목적으로 2002년 2월 28일 개원했다. 지용택 새얼문화재단 이사장을 비롯한 지역 내 전문가그룹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여기다 인천대는 동북아국제통상대학을 신설하고, 동북아물류대학원을 개원했다. 중어중국학과를 개설했고, 2014년엔 중국학술원도 개원해 동북아의 중심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

▲ 2013년 1월 18일, 송영길 전 인천시장과 최성을 인천대학교 총장이 국립대학법인 설립 등기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출처ㆍ인천시>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 그리고 풀어야할 숙제

광역시ㆍ도 17개 중 유일하게 국립대학이 없는 곳이 인천이다. 이에 인천시는 2003년 8월 인천대를 국립대학으로 전환하려는 정책을 정부에 건의했다. 당시 참여정부는 인천대의 국립대 전환을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했다.

2004년 10월 인천대ㆍ인천시ㆍ정치권이 동참해 ‘인천대 국립대 전환 추진단’을 구성했다. 당시 인천시민의 다수는 인천대의 국립대 전환을 찬성했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인천시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국립대 전환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지역의 고등교육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인천시ㆍ정치권ㆍ시민사회와 인천대 구성원들은 ‘인천대 국립대 전환을 위한 100만명 서명운동’에 나섰다. 인천시민 약 130만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서명부는 2005년 5월 교육인적자원부와 각 정당에 전달하기도 했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인천대는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했다.

과거 분쟁 사학들이 또 다시 분쟁에 휩싸이고 있어, 인천대의 변화와 성장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인천대도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먼저 시립대에서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면서 재정난이 심각하다. 정부는 양해각서(MOU)를 핑계로 5년 후부터 국비를 지원 하겠다고 하고, 인천시는 재정난을 이유로 약속한 지원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여기다 대학의 실질적 주인이 없다보니 학사 행정의 일관성이나 학교 비전 수립과 추진 등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인천시나 정부의 입김이 자꾸 작용해 대학의 자율적 운영이 방해를 받고 있다. 이런 문제는 대학법인 이사 선출과정에서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또한 대학을 실질적으로 이끌 총장 자리를 놓고 정부, 인천시, 현 대학당국 집행부와 교수협의회 등이 자주 충돌하고 있다.

인천대의 운명은 수도권 변방 대학의 흥망성쇠가 아니다. 인천대의 미래는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정부가 수십 년 동안 공교육을 제대로 책임지고 육성하지 않은 상황에서 학내 구성원, 지역 시민사회, 정치권 등이 분쟁 사학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들여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대의 발전은 인천의 정체성을 찾는 일이며, 인천 발전의 밑거름이 되고 있음을 지역의 정치권, 교육계, 대학당국 모두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 <인천투데이>은 올해 초 인천대 시립화 20주년을 맞아 ‘분쟁사학, 선인학원을 아시나요?’를 시작해 총16회에 걸쳐 ‘인천대, 분쟁사학에서 국립대학법인으로’를 연재했다. 부족한 연재에 많은 관심과 질타를 보내준 인천대 동문, 교수, 학생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드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