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진보진영의 대표적 시민단체인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이하 인천연대)와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이하 복지보건연대)가 통합해 인천평화복지연대로 출범했다.

그동안 두 단체가 공공의료 강화와 주민참여예산 운동,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 200만 서명운동’과 수도권매립지 연장 대응 등을 네트워크 안에서 함께 벌여왔지만, 당초 단체 창립 목적과 배경이 다르고, 역사 또한 다른 상황에서 통합은 시민운동 역사의 한 획을 긋는 일이다.

두 단체의 통합은, 각자 조직을 진단하고 전망을 모색하는 속에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 결론은 ‘회원이 중심인 시민단체, 지역주민 스스로 주인으로 서는 지역공동체 건설, 시민이 주체로 참가하는 시민운동’으로 시민운동의 새 지평을 여는 것이었다. 이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살려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에 통합이 가능했다고 한다.

‘인천연대는 구별로 풀뿌리조직을 갖추고 있었지만 지역주민의 일상적인 참여도는 높지 않았다. 주민들이 참여하려면, 그 지역 현안을 같이 풀어가야 한다. 그런데 동네에서 주민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계기와 공간이 사라졌다. 복지보건연대는 구별 풀뿌리조직은 없지만 사회복지를 매개로 한 기층조직을 두고 있었다.

주민을 조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복지보건연대와 이를 함께 실행할 수 있는 구별 조직을 가진 인천연대가 통합하면 여러 면에서 시너지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통합하기로 뜻을 모았다’라는 이야기는 통합 배경을 잘 보여준다. 형식적 통합이 아닌, 내용적 융합이라 할 수 있어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이는 지향하는 가치의 융합에서도 나타난다. 새 단체 이름에서 나타나듯 인천평화복지연대는 ‘평화통일’과 ‘보편적 복지’의 융합을 지향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하게 사는 게 보편적 복지가 됐다. 그런데 남북의 정전 상태는 한반도를 늘 불안하게 한다. 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요소다. 평화가 전제될 때 보편적 복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와 활동내용의 융합보다 더 어려운 게 회원 간 융합일 수 있다. 서로 역사가 깊은 만큼 이질감도 적지 않고, 아직은 서로 낯설기 때문이다. 회원들에겐 통합을 걱정하고 염려하는 마음도 있었다.

그 마음을 희망적으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 그것을 적극 표현하고 실천하는 노동이 따라야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시민들이 사랑하는 단체를, 시민들이 주체로 참여하는 시민운동을 만들어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