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공의료포럼, 예산 복원과 음압격리병동 확장 촉구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18일 오전 기준 확진자는 165명, 사망자는 23명으로 늘었다. 격리자는 6729명이다.

‘6월 12일을 기점으로 진정될 것이고, 4차 감염은 없을 것’이라던 정부 발표와는 달리 감염자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사태는 악화되고 있다. 18일 오전에는 강동 경희대병원 투석실에서도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국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인천의 경우 메르스 감염 의심을 받은 검단탑병원 간호사가 2차 검진에서 음성 판정을 받으면서 아직까지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의심 환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시, 경기도 부천과 인접해있어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인천에서 메르스 사태를 최일선에서 대응하는 기관은 인천시의료원이다. 인천공항이나 인천항만에서 발생하는 환자는 이곳으로 이송된다.

인천시의료원은 음압병실 3개(5병상)를 갖추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진정되지 않고 있는 만큼, 의심 환자 발생에 대비해 부분 음압병실 6개를 추가로 두고 있다. 그리고 병동 2개를 메르스 전용 병동으로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의료원은 메르스에 대처하기 위해 감염내과ㆍ호흡기내과ㆍ신장내과 등의 의사 9명과 간호사 13명 등의 전문 인력을 24시간 철야근무에 투입했다. 인천시의료원은 전염병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의료진을 갖추고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병원이다.

현재 인천시의료원에 확진 환자는 없다. 보건소에서 의뢰한 인천지역 의심 환자와 인천공항에 입국한 내ㆍ외국인 의심 환자 등 4명이 격리병동에서 검사를 받고 있다. 17일까지 약 30여명이 다녀갔고,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아 퇴원했다.

이처럼 인천시의료원 의료진은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매일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로 인한 경영손실액이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해 6월과 비교했을 때 외래환자는 약 50% 감소했고, 입원환자는 20% 정도 감소했다. 장례식장 이용 또한 지난해의 절반 정도로 줄었다.

사태가 지속되면 직원들의 이달 급여도 못줄 형편이다. 그야말로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른바 ‘착한 적자’가 병원 경영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가 이번 1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인천시의료원 운영비 7억원을 삭감해 파장이 일고 있다.

메르스 사태 여파로 공공의료의 중요성이 부각하고 있다. 민간 병원에서는 메르스 의심 환자를 받지 않으려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 대응하는 병원이 공공의료기관일 수밖에 없다. 메르스나 사스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면 인천에서는 인천시의료원이 최선두에서 이를 방어하게 돼있다. 시가 인천시의료원에 더 지원하지 못할망정 운영비를 삭감한 추경(안)을 시의회에 제출해 빈축을 사고 있는 것이다.

건강과나눔ㆍ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인천지회ㆍ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인천부천지역본부ㆍ인천의료원지부ㆍ인천평화복지연대(준)가 구성한 인천공공의료포럼은 18일 오전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의회에 삭감예산 복원을 촉구했다.

인천공공의료포럼은 “인천시의료원은 취약계층 의료 지원 등 공공의료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또 민간 병원이 담당하기 어려운 메르스ㆍ사스ㆍ신종플루 등의 사태에 최우선으로 대응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적자는 공익을 위해 불가피한 것이다”라며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인천시는 인천시의료원을 적극 지원해야한다”고 주장했다.

2003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4년 에볼라, 2015년 메르스 등, 무서운 전염병들이 창궐하고 있다.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국제항을 두고 있어 바이러스 유입과 차단의 첫 관문이나 다름없고, 인천시의료원은 차단하는 데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인천공공의료포럼은 “현재 인천시의료원의 음압병실은 3개에 불과하다. 이를 운영할 의료인력 또한 부족하다. 인천은 공항과 항만 등 관문을 두고 있는 만큼, 정부가 최소 20병실 이상의 음압격리병동을 인천시의료원에 구축하고 감염내과ㆍ호흡기내과 등의 전문의와 간호 인력을 지원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