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 도심엔 군용철로 두 개가 있다. 두 개 모두 부평역에 닿아있는데, 하나는 일신동에 있는 3군수지원사령부, 다른 하나는 부평미군기지를 지나 산곡동 3보급단과 연결된다. 한국전쟁 후 미군 보급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한국군이 주한미군 보급부대가 있었던 부평에 보급부대를 배치해 운영한 데서 비롯됐다. 이 부대들은 경인철도 등을 경유해 군수품을 전국으로 보내왔다. 하지만 물류산업의 발전과 변화 등으로 철도를 이용한 수송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3군지사 쪽 군용철로는 지역을 단절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그래서 ‘제 기능도 거의 상실했는데, 폐지하든지 지하화 해달라’는 주민청원이 이어졌다. 하지만 아직 그대로다. 미군기지 쪽 군용철로는 기지 반환을 앞두고 ‘반환 후 토지 활용방안’을 모색하면서 부각했다. 대규모 시민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인데, 군용철로가 기지 담장을 따라, 그리고 기지 내부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군용철로 유지를 국방부가 고집할 경우, 반환 기지 활용에 상당한 난관이 조성된다. 이 군용철로를 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를 개발할 경우 철로 재정비 등에 약 57억원, 철로를 지하화 할 경우엔 600억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재정난에 허덕이는 인천시와 부평구가 담당하기엔 벅차다. 비용 문제를 떠나 이 군용철로는 미군기지 절반 정도를 에워싸고 있어, 반환 기지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특히 제 기능을 거의 상실한 철로를 엄청난 비용을 들여 유지할 이유는 없다. 군부대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든지 다른 대체수송방안을 마련하는 게 합리적이다.

군은 지난해와 올해 들어서 이 철로를 거의 이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국방부 쪽은 철도공사에서 경제성을 고려해 올해부터 부평역 화물 취급을 중지해서 그런 거라며 군 병력을 투입해 부평역 화물수송을 직접 수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군용 물동량이 존재하는 만큼 철로 폐쇄는 현재로는 불가능하다고 했다. 하지만 3보급단 쪽에서는 철로보다 차량으로 수송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내부평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했다.

이 군용철로를 폐쇄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3보급단 이전 요구로 주민 민원이 확대될 수 있음을 국방부는 생각해야할 것이다. 부평구는 최근 ‘미군기지 반환 활용 자문협의회’를 구성했다.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인천시에 전달하기 위해서다.

이제 국방부는 군용철로 폐지를 전제로 수송대책을 마련하거나 부대 이전을 검토할 때다. 더 이상 논란이 일지 않게 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