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시티 사업방식은 송도서 이미 철 지난 모델

송도에서 재미 본 게일사, 6ㆍ8공구에 눈독 들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올해 1월 초 어렵게 마련한 송도 6ㆍ8공구 출구전략이 ‘송도엑스포시티’ 때문에 위기에 놓였다. 인천시 재정위기 대책 마련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송도엑스포시티는 배국환 시 경제부시장이 올해 1월, 라스베이거스 월드마켓센터의 설립자로 알려진 숀 샘슨(Shawn Samson)의 초청을 받아 임용빈 게일인터내셔널코리아 대표와 함께 라스베이거스 월드마켓센터를 다녀온 뒤 부각한 사업이다.

배 부시장이 라스베이거스를 다녀온 뒤, 숀 샘슨과 임용빈 대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5월 18일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송도 6ㆍ8공구의 랜드마크시티 사업을 대체할 사업으로 엑스포시티를 제안했다.

송도 6ㆍ8공구 토지 면적은 총582만 9446㎡(=약 176만 3407평)이다. 이중 공원과 공공용지, 골프장 등 355만 2028㎡를 제외한 개발부지는 227만 7418㎡(=약 68만 8918평)이다. 개발부지 중 주택용지는 147만 1941㎡(=약 44만 5262평)이고, 상업용지는 80만 5477㎡(=약 24만 3656평)이다.

송도 6ㆍ8공구는 신설되는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남항)과 바로 인접해있고,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인천대교(고속도로)가 지난다. 향후 제2서울외곽순환도로와 인천지하철1호선 연장구간 등이 개통하면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비롯해 수도권 남ㆍ북부로 사통팔달이 기대 되는 노른자위다.

하지만 시와 인천경제청은 민선4기 시절인 2006년 7월 체결한 기본협약에 따라 토지를 조성해놓고도 멍하니 쳐다만 보고 있었다. 5공구와 7공구 등이 개발될 때 6ㆍ8공구는 진척이 없었다.

2009년 이후 지속된 부동산경기 침체도 원인이지만, 그보다는 사업권 부재가 주요 원인이었다. 2006년 7월 체결한 기본협약에 따라 SLC(songdo landmark city: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현대건설ㆍ삼성물산ㆍ포트만홀딩스ㆍSYM 컨소시엄)가 6ㆍ8공구 개발권을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천경제청은 토지를 활용할 수 없었다.

이에 시는 ‘151층 인천타워’로 상징됐던 송도 6ㆍ8공구 부동산개발 사업(사업비 약 18조원)의 출구전략을 찾기 시작했다. SLC의 독점개발권을 해지하는 대신, SLC에 보상해주는 게 출구전략의 골자였다.

결국 올해 1월 인천경제청과 SLC는 ‘개발부지 227만 7418㎡ 중 193만 7518㎡의 개발권을 인천경제청이 회수하는 대신, SLC가 나머지 부지 33만 9900㎡를 3.3㎡(=1평)당 300만원에 매입해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숀 샘슨과 임용빈 대표 등이 시에 제안한 엑스포시티 사업 방식은 SLC의 개발 예정부지 33만 9900㎡와 인천경제청이 개발권을 회수한 부지 193만 7518㎡를 합해 제3자가 개발하는 것이다.

엑스포시티, 송도에선 철 지난 모델

송도 엑스포시티는 결국 SLC를 대신한 제3자가 시행하는 송도 6ㆍ8공구 부동산개발 사업이다. 이 방식은 송도 개발 초기 게일인터내셔널코리아가 포스코와 합작해 송도개발유한공사(NSIC)를 설립해 송도를 개발한 방식과 동일하다. 인천경제청이 이 방식을 접은 지 4~5년 정도 됐다.

인천경제청은 경제자유구역 개발 초기에 투자 유치보다는 부동산 개발에 치우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송도는 부동산 개발 붐(boom)을 이어가는 전진기지 역할을 했다. IT와 BT, 첨단 자동차 분야 투자 유치 대신에 아파트 분양이 주를 이뤘다.

인천경제청도 경제자유구역 개발 초기에는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시인했다. 개청 10주년인 2013년에 인천경제청은 <인천투데이>과 한 인터뷰에서 “양적 실적을 달성하는 데 치중했던 게 사실이다. 현재 인천경제청 내부에서도 ‘이젠 기반이 어느 정도 안정되고, 투자 유치도 가시화된 만큼 산업정책팀을 구성해 인천 경제는 물론 한국 경제의 신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국제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인천경제청은 첨단 산업 분야 외국자본 투자 유치 업무에 대한 이해와 노하우, 경험이 부족했다. 가장 쉬운 것은 부동산 개발이었고, 이 또한 시행업체에 맡기는 방식이 편했다.

송도개발유한공사가 한 것처럼 인천경제청과 계약 체결로 일정 범위의 독점개발권을 일정 기간 지녀, 개발해서 분양 또는 임대해 개발이익을 남기는 게 엑스포시티 사업의 방식이다.

그런데 이 모델은 인천에서 유통기한이 끝난 것으로 통한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인천경제청은 개발 초기 소극적 투자 유치에서 현재 적극적 투자 유치로 전환했다. 송도에 상당한 인프라를 구축했기에, 부동산 개발을 골자로 한 외국자본의 투자에 끌려 다니지 않고 인천에 필요한 산업자본을 끌어오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했다.

김 사무처장이 언급한 것은 ‘end-user’ 사업방식이다. 이를테면 인천경제청이 투자자와 계약 시 ‘투자자가 토지를 직접 사고 개발해 업체 운영까지 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을 의미한다.

김 사무처장은 또, “엑스포시티 사업은 그 규모면에서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 부동산경기 흐름을 봤을 때 분양이 잘 될지, 임대가 잘 될지 장담하기 어렵다. 그런데 200만㎡가 넘는 토지 개발권을 준다는 것은 어렵게 찾은 6ㆍ8공구 출구전략을 원점으로 되돌리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엑스포시티 사업은 시 재정위기 극복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주장도 따랐다. 이광호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 사무처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 현재 투자 유치 대상 용지는 송도 6ㆍ8공구가 유일하다. 인천경제청이 다시 게일사와 라스베이거스 자본과 협약을 체결하면, 인천경제청은 투자 유치를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재정 악화 시 해당 토지를 비상 처방으로 검토할 수 있는데, 이 또한 제한된다. 이 토지를 한 시행업체에 맡기는 것은 시 재정의 숨통을 맡기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경제부시장이 직접 추진하는 일이라 뭐라 언급하기 곤란하다. 다만, 현재 인천경제청의 외국자본 투자 유치 방식이 전과 다른 것은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