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은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의 문제점은 물론, 인천의 연안여객 안전,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과 안전업무의 변화를 살펴봤다. 그리고 학교 안전의 변화 여부도 살펴봤다.

세월호 참사 이후 수학여행 모습에 많은 변화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7월 ‘수학여행 안전대책’을 발표했고, 9월부터 수학여행 중단 방침을 철회했다. 안전대책의 주요 내용은 수학여행단의 규모를 줄이고 시기와 장소를 분산하고,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것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교육청은 매뉴얼을 만들어 학교에 배포했다. 눈에 띄는 건 학생 50명당 안전요원 1인 이상을 배치해야한다는 점이다. 수학여행단과 동행하는 안전요원은 요건을 갖춰야하는데, 일례로 교원자격증 소지자도 정해진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안전요원이 될 수 있다. 안전요원 배치뿐 아니라, 인솔교사와 학생들도 사전에 안전교육을 받아야한다. 한마디로 수행여행 안전지침이 강화된 것이다.

그래서인지, 올해 수학여행을 다녀왔거나 다녀올 계획을 세운 인천지역 학교는 40%밖에 되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 전 모든 학교가 수학여행을 다녀왔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세월호 참사 여파가 아직 남아 있고, 안전지침 강화로 수학여행 준비업무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학여행을 다녀온 교사들은 예전에 비해 업무가 많이 늘어났다고 토로했고, 안전요원 고용에 따른 비용문제도 있다고 했다. 비용이 늘면 수익자인 학생(학부모)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대부분, 교사들이 안전교육 14시간을 받고 안전요원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여행은 경험과 견문을 넓히고 친구들과 추억을 만들며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이다. 그 기회를 빼앗을 게 아니라 안전지침 강화에 따라 지원도 늘려야한다.

가장 중요한 학생들의 안전교육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수학여행을 가기 전 버스와 비행기 탈 때 유의점 정도만 한 차례 교육받았고, 위급상황 대처법 같은 것을 교육받지는 않았다’는 학생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또한 학교 안전사고는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천지역 학생들이 겪은 안전사고는 약 6000건으로 2012년보다 1000건 정도 늘었다. 체육수업시간이 1883건으로 가장 많았고, 현장학습ㆍ수학여행ㆍ수련활동 등은 93건으로 외부 활동에서도 안전사고가 적지 않았다.

올바르고 신속한 사고 대처법 교육도 필요하고, 예방교육은 더욱 필요하다. 일선 학교에서 실질적인 안전교육이 이뤄질 수 있게 교육당국이 세밀하게 지원해야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