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3일은 북한군의 연평도 포격사건 4주년이 된 날이다. 이 사건으로 해병대 2명이 전사하고 1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민간인도 2명 죽었다.

정부는 예년처럼 올해도 추모행사를 열었다. 국가보훈처는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광장에서 ‘튼튼한 안보,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반입니다’이란 주제로 행사를 개최했다. 인천시도 연평도 평화추모공원에서 추모제를 열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추모사에서 “4년 전 북한의 연평도 도발은 평화를 깨트린 무자비한 반민족적 사건이다. 300만 인천시민은 우리의 자유와 생명을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도 단결된 마음으로 맞설 것이다”라고 말했다.

‘안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지만 대결을 전제한 ‘안보’만을 강조하다간 대립과 분쟁을 끝낼 수 없다. 평화는 요원해진다. 포격의 피해 당사자인 연평도 주민들이 ‘4주년 기념행사를 연평도에서 하지 말아 달라’고 옹진군에 청원한 것은, 이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안보교육 차원에서 기념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연평도 주민에겐 오히려 불안감을 갖게 하고, 아물지 않은 상처에 소금만 뿌리고 가는 꼴이 될 수 있다. 연평도 주민들이 원하는 건 대결과 안보를 상기하는 게 아니라, 실제적 평화를 누리게 해주는 것이다.

연평도를 포함한 서해5도는 한반도의 화약고라 할 수 있는 북방한계선이 위치해있는 남북 접경지역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중국어선 불법조업이 기승을 부리면서 한ㆍ중 영해 갈등도 나타난다.

서해5도 주민들은 남북 대치로 인한 생존위협, 분쟁 지역화로 인한 관광객 감소와 중국어선 불법조업으로 인한 어업소득 감소에 따른 생계위협 속에 살고 있다. 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전기 등 에너지 확보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할 때 ‘ 평화’가 왔다고 할 수 있다.

지난 20일 인천시와 옹진군, 지역 국회의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서해5도어민회가 공동으로 연 포럼은 그래서 의미가 있다. ‘전력이 평화다’라는 주제를 가지고 서해5도의 에너지 자립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그 대안으로 풍력이나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통한 에너지 자립 섬 즉, 마이크로그리드 모델이 제안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주도 가파도와 진도군 가사도에서 이미 실증을 마쳤고, 한전이 울릉도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발전과 저장배터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니, 서해5도에서도 할 수 있단다. 연평도 주민들이 바라는 건 정부 등이 적극 나서서 이런 사업을 현실화하는 것이다. 물론, 가장 바라는 건 남북 화해와 협력, 평화이지만 말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