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이 막을 내렸다. 대회 운영에 여러 허점이 드러나 ‘동네 운동회만도 못하다’는 비난도 일었지만, 선수단을 비롯해 대회 조직위원회 관계자들과 수많은 자원봉사자가 고생했다. 축구경기 등에서 남북의 극적인 승부와 남북공동응원단의 열띤 응원, 남북 고위급 오찬 회담으로 이어진 북한 고위급 인사들의 폐막식 참석 등은 화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남북 고위급이 이달 말이나 11월 초에 2차 회담을 하기로 했다니, 인천아시안게임이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됐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인천시민들의 당장 관심은 ‘대회 정산’이다. 이번 대회에 들어간 돈은 대회 운영비 4800억원을 포함해 2조 5000억원에 이른다. 대회 조직위원회는 대회 운영비가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과 비교해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정부 지원금(2007억원)과 시 지원금(1282억원)을 비롯해 스폰서십(470억원), 방송중계권(245억원), 티켓판매(265억원), 기타수입(290억원) 등으로 운영비를 충당했다고 밝혔지만, 문제는 경기장 등 시설 관련 비용이다. 경기장 16곳 신축 등 대회 관련시설 건설에만 1조 5216억원이 들어갔다.

정부는 ‘문학경기장을 증ㆍ개축해 주경기장으로 사용하라’고 권고했지만, 시는 주경기장을 신축하느라 4673억원을 썼다. 오죽하면 대회가 한창이던 지난달 26일, 백국환 정무부시장이 예산담당 공무원 등 200여명을 소집한 긴급회의에서 “아시안게임 뒤 남은 건 빚뿐이다”라고 했을까.

이렇게 쓴 돈은 인천시민이 감당해야 할 빚이 됐다. 국고보조금 4677억원 등을 빼고도 1조원이 넘는 돈을 세금으로 막아야한다. 경기장 건설비를 갚는 데만 내년부터 15년간 해마다 600억~1500억원이 들어간다고 한다. 경기장 관리에 해마다 수백억원대의 손실도 예상된다. 시가 주경기장을 위락ㆍ쇼핑ㆍ문화시설 등으로 활용해 적자를 줄이겠다고 하지만, 두고 볼 일이다. 결국 시의 긴축재정이 불가피하고, 그 피해는 시민들에게 돌아온다. 시는 당장 버스준공영제, 출산장려금ㆍ사회단체보조금 등을 재검토한다고 한다.

이런 상황은 사실상 예고된 것이었다. 3선을 노리던 안상수 전 시장이 대회의 효과를 크게 부풀려 유치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어서 대회를 사실상 준비한 송영길 전 시장은 서구 일부 주민들의 반발에 밀려 문학경기장 증ㆍ개축을 포기하고 주경기장을 신축했다.

이제 인천시민은 막대한 빚을 감당해야하고, 이 때문에 취임 100일을 맞은 유정복 시장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진다. 허울이 아닌, 도시 외형이 아닌, 그 속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삶을 먼저 살피는 정책을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