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남동구 고잔동에 있는 인쇄회로기판 제조업체에서 염소산나트륨이 누출돼 이곳 노동자들이 호흡곤란과 구토 증세를 보여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염소산나트륨은 인체에 크게 해롭진 않지만 화재 시 불을 번지게 하는 위험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앞서 19일에는 서구 왕길동의 화학물질 취급 업체에서 아세트산비닐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근 주민 5명이 두통을 호소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업체 인근 농작물이 말라 죽고 하천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엔 서구 원창동에 있는 SK인천석유화학에서 벤젠이 함유된 나프타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렇게 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언제 또 사고가 터질지 모른다는 생각에 인천시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다. 불안감을 씻을 종합적인 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예방 대책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비상대응체계도 함께 마련해야한다.

전문가들은 비상대응체계의 전제조건은 주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미국의 경우, 기업체가 화학물질 관련 정보를 정부에 보고하면, 정부는 그것을 주민들에게 공개하고, 공무원과 시민단체들이 유해 화학물질 건강 영향을 평가해 사고를 예방하고 비상사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계획을 수립한다고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단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의 분리, 주거지역 인근의 공업지역에 유해 화학물질 취급업체가 입주하지 못하게 하고, 기존 취급업체는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한다. 업체에서는 유해 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없다고 하지만, 완벽할 수는 없는 일이다.

1960~70년대 부평공단과 주안공단, 그리고 자동차산업의 발달, 1985년 남동공단 가동으로 인천은 수도권 최대 배후산업도시로 거듭났다.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으로 도시 규모는 더 커졌고, 이 같은 성장 흐름에 맞춰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이제 인구 300만을 앞둔 국내 3대 도시로 성장했다.

하지만 여전히 서울 외곽에 위치한 ‘공장도시’라는 이미지를 벗지 못하고 있다. 거주환경이 열악한 곳이 아직 많다. 공단에서 흘러나오는 악취와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화학물질 유출 사고는 인구 300만 도시, 인천이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 중 하나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