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과학이야기 70. 개미(3)

 
개미집단의 수명은 그곳에 사는 여왕개미의 수명과 같거나 조금 길다. 동물사회에서 한 집단이 계속 유지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생명체가 앞 세대의 빈자리를 끊임없이 채워나가야 한다. 개미집단에서 알을 낳아 개체수를 늘리는 것은 여왕개미에게 주어진 특권이다. 보통 일개미의 수명은 길어야 2~3년이지만, 여왕개미는 무려 20여 년을 산다.

후각으로 소통하는 개미들은 여왕개미가 죽은 것을 즉시 알아차리지 못한다. 죽은 여왕개미의 몸에서 여전히 이전과 같은 냄새(페로몬)가 나기 때문이다. 여왕개미의 시중을 드는 개미들은 여왕의 몸을 핥아 명령을 확인하고 이를 집단 전체에 전달해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데 일주일 쯤 지나면 더 이상 여왕에게서 아무런 냄새가 나지 않는다. 결국 여왕은 온 몸이 분해돼 흙속에 섞여버린다.

여왕개미에게서 페로몬이 점점 줄어들면, 이를 감지한 병정개미들의 몸에선 신기한 변화가 일어난다. 난소가 성장해 알을 낳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병정개미는 일개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침입자로부터 개미집을 막아내는 역할을 한다. 그들은 새로운 ‘여왕’이 되기 위해 서로 몸싸움을 벌인다. 결국 병정개미 한 마리가 알을 낳는 일을 독점하게 된다.

이로써 개미집단은 되살아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아니다. 암개미의 난자와 수개미의 정자가 만나 수정된 알은 모두 암개미(병정개미를 포함한 일개미와 여왕개미)가 되는 반면, 병정개미가 혼자서 낳은 알, 즉 수정되지 않은 알은 모두 수개미로 태어난다. 암컷인 여왕개미와 일개미에 비해, 수개미의 염색체는 절반밖에 되지 않고 개미집단의 성장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결국, 개미집단은 서서히 소멸한다. 그리고 한참 후, 새로운 여왕개미가 이곳에 알을 낳고, 다시 개미집단의 삶이 시작된다.

올해 초 발간한 에드워드 윌슨의 ‘개미언덕’을 읽고, 개미들이 이토록 고등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무리를 이루고 산다는 데 놀랐다. 한편으론, 분업이 잘 돼있는 점, 서로 다른 개미집단 사이에 영역 구분이 확실한 점, 집단 지성이 이끄는 사회인 점 등, 개미집단이 인간 사회와 비슷한 점이 많음에도 그들의 삶이 우리에게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것이 의아했다. 개미는 인간처럼 군집생활을 하는 흔치 않은 동물인데 말이다. 사실, 굳이 동물의 삶이 인간과 비교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가족’을 이루고 사는 사자무리의 짝짓기나 사냥행태는 인간의 삶과 곧잘 비교되지 않던가?

이를 통해, 매체가 인간의 삶을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이를 우리에게 다시 주입하고 있는지 의심해볼 수 있다. 누군가는 자신들이 기대하는 가치를 전파하기 위해 매체를 이용해 왔고, 지금도 이용하고 있다. 동물들의 삶은 이 과정에 쉽게 소모품처럼 사용된다. 그들은 본능에 따라 살기 때문이다. 동물의 삶이 본능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것이니, 현재 주어진 인간의 삶도 마치 주어진 운명이나 숙명처럼 받아들이라는 듯이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바라보는 동물의 세계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그것은 ‘누군가의 선별’에 의한 것이다. 우리는 개미들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작은 초소형 카메라를 개미굴에 밀어 넣거나, 세렝게티 초원에서 기린 등에 탄 채 몇 년을 그들과 함께 보내기 전까지는, 동물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없다. 하긴, 운이 좋아 바라볼 수 있다 해도 그들의 행동을 인간의 언어로 어찌 해석할 수가 있을까. 그러니 동물의 삶이 매체에 등장할 때마다, 우리가 보는 것이 다가 아님을, 누군가의 선별을 거친 장면임을 깨닫는 것이, 동물과 인간의 삶을 동시에 이해하는 첫걸음이 아닐까 싶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