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평화운동본부 정책위원장 조현근

인천투테이 | 유정복 시장은 민선 8기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지역내총생산(GRDP)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해상풍력발전 산업 클러스터를 잘 활용했으면 한다.

조현근 서해5도평화운동본부 정책위원장
조현근 서해5도평화운동본부 정책위원장

2020년 기준 국내 광역단위 명목 GRDP는 부산 91조2000억원, 인천 89조6000억원, 울산 69조3000억원, 대구 57조7000억원, 대전 44조3000억원, 광주 42조원, 세종 12조 7000억원 순이다.

인천의 GRDP는 1995년 민선 1기 첫해 22조9000억원 대비 2020년 약 4배로 규모가 커졌다. 이 기간 인천이 부산과 격차를 줄이면서 앞지른 유일한 시기는 유정복 시장의 임기였던 민선 6기 2017년뿐이었다.

경제활동별 인천 GRDP 변화는 1995년 대비 농어업 0.91배, 광제조업 2.47배, 건설업 3.01배, 에너지업 4.13배, 서비스업 5.67배로 커졌다.

인천GRDP 중 옹진군은 0.8%인 7000억원대에 불가하다. 이마저도 공공, 국방, 사회보장 행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반이다. 옹진군 섬들은 이미 초고령사회와 소멸위험에 처해 있다. 위기와 기회는 동전의 앞뒤와 같이 붙어있다. 섬과 바다에 기회가 있다.

표. 인천 경제활동별 GRDP 변화
표. 인천 경제활동별 GRDP 변화

최근 윤석열 정부는 ‘탄소중립,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도약’을 비전으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출범하며 ‘지방중심 탄소중립’을 발표했다. 기존 정부 주도 방식에서 지방이 중심 돼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전환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해상풍력은 탄소중립과 기업의 RE100 이행을 위한 필수 요소다. 얼마 전 산업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개선방안에 따르면, 2030년까지 연간 1.9GW씩 풍력발전을 신규로 설치해야 한다. 인천의 경우 풍황 자원과 수도권 전력 계통의 용이성 때문에 국내외 사업자들이 몰리고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 해상풍력은 엔지니어링, 기계, 전기, 정보통신, 운송, 철강, 조선, 건설, 금융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한 활동이 일어난다. 지역경제 측면에서도 개발기간, 건설기간, 운영기간 등 전 과정에서 지자체 직접 세수와 일자리 창출 등 파급효과가 있다.

해상풍력 설비용량 500MW 기준 단지 1개 조성 시 약 2조5000억원이 소요된다. 산업부 국감에서 민주당 이동주 의원실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재생에너지 확대 시 에너지 관련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19년을 기준 풍력발전 10억원당 생산유발계수는 26억6000만원, 고용유발계수는 6.4명으로 분석했다.

2020년 6월 덴마크 의회는 세계 최초 에너지 인공섬 건설을 승인했다. 민관이 공동으로 2033년 준공을 목표로 유틀란트반도 해안에서 80km 떨어진 바다 위에 만들고 있다. 340억달러(약 38조원)을 투자해 1000만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해상풍력단지와 배후항만지원 시설을 집적화할 예정이다.

덴마크 ‘VindØ 에너지 아일랜드’ 조감도
덴마크 ‘VindØ 에너지 아일랜드’ 조감도

인천시도 해상풍력 지역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항만 배후용지를 찾고 있다. 이를 위해 송도 신항 1-2단계 우측에 34만㎡ 사용을 해수부와 인천항만공사와 협의하고 있다. 그러나 신항만 건설 기본계획과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되기까지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육지뿐 아니라 바다를 가진 해양도시다. 인천이 가진 운동장을 넓게 써야 한다. 배후항만은 해상풍력 건설 단지와 가까울수록 적합하다. 풍력단지 위치와 가까운 옹진군 섬과 연계해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

해상풍력발전에 필요한 부품의 제조·조립, 운송·설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선박 접안시설과 설치선 사양에 맞는 적정 수심과 용지가 있어야 한다. 인천시가 자체매립지 용도로 89만㎡를 매입한 영흥도 토지도 있고, 덕적군도 등 유인도 11개에 국가 어항을 비롯한 크고 작은 접안시설이 있다. 바다 위에 일부러 인공 섬까지 짓는 마당에 인천은 섬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현재, 덕적‧자월도 연근해에서만 풍력단지 34개가 추진되고 있다. 대부분 어민이 반대하는 특정해역 꽃게어장에 몰려 있다. 옥석을 가려야 한다. RE100 이행에 따른 인천 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 영흥화력발전소 전환 등을 기초로 인천의 해상풍력 적정 단지 규모도 설정해야 한다.

무엇보다, 섬 경제에 도움이 돼야 한다. 2021년 기준 덕적‧자월면 섬 인구는 3214명으로 고령화 비율이 40.8%이며 소멸위험지수도 0.12로 고위험지역이다. 섬에 양질의 일자리가 있어야 사람이 온다.

해상풍력단지와 섬지원단지를 연결한 ‘인천형 탄소중립 해상풍력산업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 2050 탄소중립위원회 탄소중립기본법, 산업부 에너지융복합단지법, 해수부 해양산업클러스터법 등 부처별 지원법도 이미 마련 돼 있다.

인천시가 해양분권, 에너지분권 차원에서 해수부, 산업부와 협업해 섬과 바다 자원을 연결한 새로운 탄소중립 녹색성장 혁신모델을 주도할 수 있다. 인천 GRDP 100조원을 이루기 위해 현재보다 10조원을 더 늘려야 한다. 인천의 바다에서 가능성을 찾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