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한 과학이야기 ⑬ 불소

딱 10년 전의 이야기다. 아침마다 도서관에서 만나던 친구가 그날따라 늦게 왔다. 내가 맡아 놓은 자리에 가방을 내려 놓는 친구를 보니, 머리가 땀에 잔뜩 젖어있었다. 무슨 일이 있느냐고 했더니, ‘행사를 다녀왔다’고 했다. 어떤 행사인지 물었더니 충치와 관련된 행사에 다녀왔단다.

다음 날, 친구는 내게 종이 한 장을 내밀었다. 읽어보니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사업(수불사업)’에 대한 내용이었다. 수불사업을 인천시가 추진하도록 요구하려고 하는데, 이 전단으로 먼저 시민들에게 수불사업의 필요성을 알리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어제 아침에 출근하는 시민들에게 이 전단을 돌리고 오느라 늦었단다.

순간, 당황스러웠다. 친구의 얘길 받아들여야 할까? 뭔가 낯설었다. 어떻게 모두가 먹는 물에 뭔가를 넣을 수 있을까? 원하는 사람만 먹게 할 다른 방법은 없을까? 난 읽던 책을 덮고 친구와 토론에 들어갔다.

불소는 플루오린(플루오르)이라고 부르는 원소다. 불소는 다른 원소와 아주 쉽게 결합한다. 그래서인지 불소는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는 대부분 다른 원소와 결합한 화합물 형태로 존재한다. 불소가 물에 들어가면 이온상태(=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 극성을 갖게 된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물속의 이온, 즉 ‘플루오린화이온’은 충치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미국ㆍ영국ㆍ호주 등 58개국에서 수불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프랑스ㆍ독일ㆍ스위스ㆍ벨기에 등 유럽의 선진국을 비롯한 36개국에서는 불소를 소금에 첨가해서 섭취하도록 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최근의 얘기가 아니다. 미국에선 1945년부터 시작했고, 세계보건기구(WTO)에서는 1957년부터 지금까지 일관되게 수불사업을 권장하고 있다. 불소의 충치예방 효과와 그 안정성은 거의 모든 논문과 학계를 통해 증명됐다. 여기까지가 내 친구의 얘기였다.

하지만 내 뜻도 만만치 않았다. ‘누구나 마시는 물’에 왜 불소를 넣느냐는 것이다. 다수가 원하는 경우에도 소수의 선택권을 존중해야하지 않느냐는 말이다. 아무리 효과가 있고, 위험하지 않다는 증거가 산처럼 쌓여 있다고 해도 내 입에 들어가는 물인데 인위적으로 집어넣는 특정 성분에 무방비로 노출되긴 싫단 말이다! 그러니 모두가 마시는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건 ‘옳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내 얘기를 가만히 듣고 있던 친구가 조용히 말했다.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이건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해” 이해가 안 됐다. 뜨악해진 나는 다시 한 번 물었다. “무슨 뜻이야?”

그렇다. 충치를 예방하는 수많은 방법이 있다. 불소가 든 치약을 쓰고, 치아 홈을 메우고, 6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치과에 들러 진료를 받고, 날마다 꼼꼼히 치아를 닦고 치실을 사용하고…. 하지만, 이렇게 자기 스스로를 ‘관리’할 수 있는 이들은 많지 않다.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이 모두 직장에 나가 혼자 이를 닦아야하는 아이들, 밥 먹을 시간이 20분밖에 안 된다는 버스운전기사님들, 그 외 하루하루 천천히 밥 먹을 시간도, 충분히 쉴 시간도 없는 수많은, 어쩌면 우리 대다수에게 치아를 ‘적절한’ 방법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저 먼 곳에 있는 이상일 뿐이다.

이들이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늘 마시는 물에 불소를 넣는 것이다. 이미 수불사업의 안정성도 충분히 검증됐고, 맛좋고 몸에도 좋다고 소문난 수많은 생수와 약수에도 들어있는 물질이니 의심할 여지도 없는 것이다. 더군다나, 수불사업에는 충치치료에 들어가는 의료비와는 비할 수 없을 만큼의 적은 예산이 들어간다.

선택의 문제. 과연 누구를 위한 선택인지, 그 혜택을 받을 대상이 누구인지,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혼란스런 고민 끝에, 이젠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는 내가, 예전보다 ‘쬐끔’은 더 멋있어진 것 같다. 그날, 친구 덕분에.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