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화 시대, 지역신문은 풀뿌리 민주주의 기초

21세기는 지구화시대라고 한다. 기술이 발전하고 전 지구적인(global) 정보화가 이뤄져 이제는 안방에서 클릭 한번으로 지구 반대편 소식까지 알 수 있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지구화시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는 정보의 일방적인 흐름을 목도하게 된다. 중앙집중적인 정보의 집중은, 서울과 거리상 멀리 떨어져 있는 타 지역 주민들에게 소외감을 안겨준다. 서울 시내 교통 혼잡 뉴스는 알면서도 당장 우리 옆집의 독거노인이 혼자 쓰러져 앓아누웠다는 소식은 모르는, 웃지 못 할 사태가 발생한다.
결국 21세기 첨단정보의 시대, 지구화시대에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우리는 등잔 밑이 어두운, 정보가 차단된 봉건적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건강한 지방자치의 주춧돌, 지역신문

 

아무리 정보와 교통수단이 최첨단으로 발전한다고 해도 사람은 일을 하는 일터, 잠을 자고 가족과 더불어 사는 삶터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발 빠르게 얻을 수 있고, 그 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지역이 발전될 수 있도록 참여하길 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것이 바로 지방자치다. 권력이 중앙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삶과 직결된 정치를 주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 여기서 지역신문의 존재 이유가 생긴다.
어느 매체에서도 얻을 수 없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정보를 통해 주민 스스로 참여하고 여론을 만들 수 있는 장이 바로 지역신문이기 때문이다.
지역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당연히 지역사회에 대해 무관심할 수밖에 없다. 동네에 혐오시설이 들어선다든지, 하는 이익과 직결되는 문제가 아니고는 대부분 지역사회 내의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지역신문을 통해 지역행정이 주민들에게 공개되고 지역정치의 쟁점이 표면화될 때, 주민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지역을 가꾸고 바꾸는 능동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주민의견이 공론의 장에서 토론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주민참여가 바탕이 된 지방자치의 본 모습일 것이다.
지방자치는 자치단체장과 기초의원 몇 명을 투표로 선출한다고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주민들이 말하고(言) 논의하고(論) 참여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될 때 건강한 지방자치는 가능하다.
물론, 지역신문이 지역 언론의 기능을 제대로 하기 위해 정론직필의 자세와 발로 뛰는 기자정신을 갖추는 것부터 밑받침 돼야 함은 기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