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자금 지원 전제조건은 "한국시장에 신뢰 주는 것"

▲ GM대우 마이클 그리말디 사장.
유동성 자금 압박을 받고 있는 GM대우의 ‘데드라인’이 서서히 다가와 산업은행과 GM대우의 선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GM의 구조조정에서 살아남은 GM대우는 일단 한숨을 돌린 상태다. 하지만 GM대우가 현재 처한 유동성 자금 압박을 이겨내지 못하면 GM대우 또한 쌍용자동차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는 조심스러운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치권과 언론을 통해 지금까지 흘러나온 내용을 정리하면, 9월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GM대우의 선물환 계약금은 15억 달러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선물환 계약금은 지난 4월 만기를 3개월 연장한 것과, 5월과 6월분 5억 달러 등이 포함된 것이다.

물론 GM대우는 5․6월 선물환 중 5월 선물환 1520억원에서 770억원을 이미 상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8월 말까지 GM대우는 720억원만 상환하면 된다.

하지만 담보 능력이 상실된 GM대우 입장에서는 산업은행의 지원이 현실적으로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인다. ‘뉴GM’으로부터의 자금 지원은 사실상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산업은행이 유동성 자금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GM대우가 한국 정부와 시장에 믿을 수 있는 신뢰를 먼저 보여줘야 하지만, GM대우는 그런 신뢰를 아직까지 보여주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2분기 내수와 수출 물량이 1분기에 비해 늘고 있지만, 유동성 압박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내수 물량이 일부 증가했다고 하더라도, 생산 차량의 90%를 수출에 의존해온 GM대우 입장에서는 세계 경기 침체가 여전히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GM대우 1조 7000억~3조 4000억원 필요”

<부평신문>이 입수한 자료를 보면, GM대우는 올해 3ㆍ4월경에 내년까지 신차 연구개발과 연계된 자금으로 1조 457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산업은행에 ‘연구개발 지원금’ 명목으로 약 7300억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지금은 GM대우가 적게는 1조 7000억원에서 많게는 3조 40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홍영표(부평을) 의원은 “만기가 돌아오는 선물환 15억 달러와 연구개발비 등을 감안한다면 GM대우에 필요한 유동성 자금은 적게는 1조 7000억원에서 많게는 3조 4000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현재 창원ㆍ군산공장의 라세티 프리미어ㆍ마티즈 크리에이티브 생산량이 증가해 내수와 수출에 다시 회복세를 보이는 것도 사실이지만, GM대우의 현재 자금 압박을 해결할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 7월 27일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간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사진 제공ㆍGM대우>.
“한국에 신뢰 줄 수 있는 빅딜 필요”

때문에 담보 능력이 상실된 GM대우가 천문학적인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한국정부 즉 한국시장에 그 만큼의 신뢰가 필요한 상황이다.

산업은행이 요구하고 있는 GM대우 지분이나, GM대우에 대한 뉴GM의 중장기적 투자계획과 라이선스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뢰를 먼저 보여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영표 의원은 “미국 GM이 GM대우와 상하이자동차를 경쟁시키면서 자신들이 선택하는 카드로 갖고 있으면 오히려 GM대우가 포로가 될 수 있다”면서, “GM대우가 갖고 있는 생산력․기술력․효율성 등을 감안한다면 GM대우 공장은 일본과 독일 자동차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생산기지로 성장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며, “경쟁력 있는 GM대우를 만들겠다는 행동을 한국정부와 시장에 보여줘야만 추가적인 자금 지원도 가능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송영길 민주당 수석 최고위원도 <부평신문>과 헌 인터뷰에서 “산업은행과 GM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데, 한국정부가 큰 차원의 빅딜을 제안해야한다”고 밝혔다.

송 최고위원은 “향후 상생 후 담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GM이 한국시장에 계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약속, 상하이공장으로의 기능 이전 불가, GM대우 지분 추가 확보 등의 약속이 필요하다”면서, “GM대우와 빅딜 등의 방법을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