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송도와 청라소각장 대상 현대화 사업 하는 것 아냐”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ㆍ직매립 제로화와 맞춰 진행

[인천투데이 김갑봉 기자] 인천시가 청라소각장과 송도소각장은 확정한 게 아니며, 2025년 서구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종료와 함께 소각장 확충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21대 총선은 끝났고 총선 때 주민들이 반발하며 화두로 등장했던 청라소각장 현대화와 계양소각장 신설 등의 현안은 이제 시 화두로 돌아왔다. 총선은 끝났지만 혐오시설에 대한 본격적인 정치가 시작됐다.

지역 주민의 표를 의식하는 정치인 입장에선 혐오시설을 반대하는 게 유리하지만, 인천시 입장에선 소각장은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직매립 최소화를 위해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공공갈등’ 현안에 해당한다.

시는 최근 청라소각장과 송도소각장 등의 현대화 문제가 불거지자 “올해 초 밝힌 지역별, 시설별 확보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라며 “기존 시설인 송도와 청라의 소각시설을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는 내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시는 법정계획인 2022년 자원순환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는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것으로 시는 자원순환계획의 환경 적정성을 검토해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시는 이 자원순환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 소각시설의 수요와 공급 대안을 비교하고, 현재 소각시설을 유지하는 방안(1안)과 부족한 소각용량을 확보하는 방안(2안)을 비교했다.

시가 현재 운영 중인 소각시설은 용량이 부족해 시는 소각대상 폐기물 중 약 30%를 직매립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매립지의 반입량을 줄지 않고 있다. 시는 소각용량 확보를 위해 2안을 채택해 자원순환시행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시가 지난해 12월 발주한 ‘인천시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연장선에 있다.

시가 수립 중인 자원순환시행계획 대안은 부족한 소각 용량 확보를 위해 2022년까지는 기존시설을 개선해 사용하고, 향후 권역별·지역별·시설별 소각용량 확보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다.

시는 “기존 시설인 송도, 청라 소각시설을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을 진행한다는 내용은 아니다”라며 “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직매립 금지를 위해 현재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통해 소각시설 확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천시청에서 민주당 계양을지역위 소속 인천시의원과 계양구의원 5명이 ‘계양테크노밸리 광역소각장 설치 관련 성명’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동양동과 귤현동 주민들이 기자회견 장소에서 결사 반대 피켓을 들고 항의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24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인천시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했다.

시는 서구·중구·동구·부평구·계양구·강화군 등 인천 6개 군·구의 생활폐기물을 소각하고 있는 청라소각장 시설의 노후화와 용량 과부화로 보수와 증설을 추진했다.

청라소각장의 경우 내구연한인 15년을 훨씬 지나 소각장의 보수가 시급했고, 해마다 소각해야할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시는 소각용량을 확충해야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하지만 청라 주민들은 오랫동안 환경 피해를 입었다며 내구연한이 지난 소각장은 이전이나 폐쇄를 주장했다. 시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청라소각장 이전·폐쇄를 용역 과제에 포함했다.

청라만 문제가 아니라 인천 전체적으로 소각용량이 부족하다. 인천의 폐기물 소각시설 중 2018년 기준 하루 처리량은 910톤(청라소각장 387톤, 송도소각장 399톤, 경제청 62톤)에 불과해 하루 약 940톤 처리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 전체를 범위로 대안을 마련하는 용역을 발주했고, 기간은 올해 12월 8일까지 1년이다. 용역과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직매립 제로화 대안 마련, 기존시설 내구연한 도래와 폐기물 발생량 증가 등에 따른 시설노후화 대안 마련 등이다.

용역업체는 ▲장래 폐기물 발생량 분석 ▲처리구역 단위 별 자원순환시설 계획 검토 ▲폐기물 처리 계획과 사업 방안 검토 ▲기존시설 종합 분석과 검토 ▲소각장 주변지역 환경상영향 조사 ▲사업 추진 사례 조사 ▲지역 갈등 해소와 민원 해결 방안 ▲친환경 시설사업 등 종합 검토 방안 ▲시설 설치 가능 입지 조사 ▲사업 기본 계획 수립 등의 과제를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