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장 도시재생사업과 연계, 남북 역사교류 계속 추진
문학산성 정비계획 수립, 문형문화재 선정절차 등 개선

[인천투데이 이보렴 기자] 인천시가 올해 유·무형 문화재 관리 계획을 발표했다. 문화재 보존·활용계획 뿐 아니라 인천의 역사적 인물 발굴작업도 시작한다.

시는 지난 28일 인천시 홈페이지에 ‘2020 인천광역시 문화재 보존 관리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문화재를 활용한 역사·문화도시 창출 ▲문화유산 향유기회 제공 ▲문화재 체계적 관리 추진 ▲역사·문화재의 발굴과 정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세부계획을 제시했다.

먼저 시는 역사자료관으로 활용되던 시장관사를 시민에게 개방하고 카페와 관광기념품 가게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임대계약 대상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으나 인천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할 계획이며, 올해 10월에 개관 예정이다.

또 답동성당 아래 위치한 부윤관사는 예산 10억원을 들여 매입했다. 그러나 아직 활용방안과 그 주변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남북교류 계속 추진, 문학산성 정비사업 계획

시는 올해도 강화·고려 역사문화를 매개로 한 남북교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인천문화재단과 중국 연변대학교가 참여하는 임진예성포럼이 올해 3회 째 개최된다. 매해 북한의 참여를 추진하고 있지만 남북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이다.

문학산성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 특히 지난해 1월 문학산성의 최초 건축 시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굴조사를 진행했다. 시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문학산성 정비사업 계획을 수립한다. 문학산성 종합정비계획수립 용역 예산은 전액 시비로, 총 9000만원이다. 이밖에 문학산음악회, 개항장 야행 프로그램, 향교 전통행사 재현 등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2018 인천 개항장 문화재 야행' 장면.(사진제공 ? 인천시)

문화재 보수 정비, 인천인물 발굴 사업 시행

문화재 보수정비사업도 진행한다. 국가지정문화재 12곳, 시지정문화재 22곳을 정비한다. 국가지정문화재는 보물 1곳, 사적 4곳, 천연기념물 6곳, 등록문화재 1곳이다. 주로 보수설계,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지붕과 벽채, 석축과 배수로를 정비하고 천연기념물은 상시 관리한다. 시지정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11곳, 기념물 9곳, 문화재자료 2개다. 자료는 보존처리하며, 석축을 재정비하고, 문화재 주변을 정비한다.

또 죽산 조봉암 선생 기념사업과 송암 박두성 생가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는 죽산 조봉암 선생이 태어난 지 120주년이자 서거 60년 되는 해였다. 죽산 조봉암은 강화군 선원면에서 태어나 독립운동에 헌신하다 이승만 정권에 의해 빨갱이 누명을 쓰고 1959년 7월 31일 사형당했다. 시는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죽산 조봉암 선생 일대기 학술조사 용역을 실시한다. 예산은 총 3000만원이다. 7월에는 추모제와 묘역을 정비할 예정이다. 관련 기념사업 예산은 총 5100만원이다.

죽산 조봉암 서거 60주기 추모제

송암 박두성은 1926년 한글점자인 훈맹정음을 처음으로 발표한 사람이다. 시각장애인들이 문자생활을 할 수 있게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송암 박두성 선생은 강화군 교동면 출신으로, 시는 올해 송암 박두성의 생가 복원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기본설계 용역이 올해 2월까지며, 실시설계 용역이 올해 3월부터 5월까지다. 본격적인 공사는 6월에 시작될 예정이다. 예산은 총 13억8000만 원이다.

무형문화재 지정·인정기준과 절차 개선

시는 무형문화재 관리와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무형문화재 지정·인정절를 보완했다.

시는 올해 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을 지정한다. 조사대상 종목 선정을 위한 위원회의 사전검토 절차를 신설한다. 또 무형문화재 중에서도 단체 종목은 개인종목처럼 공모로 선정하고 무형문화재 인정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충분한 기량이 평가될 수 있는 조사지표를 마련하고 이수심사와 이수증 발급 기준을 개선한다.

시 문화재과 관계자는 30일 절차 개선에 대해 “종목을 지정하거나 인정할 때 기존은 신청되는 종목에 한해서 지정과 인정절차를 진행했다”며 “이 밖에도 새로운 종목을 발굴하는 데 집중해 지정이나 인정에 대한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고자 한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