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춘절 앞두고 ‘신종 코로나’ 급증 비상사태 선포
한국 질병관리본부, 유증상자 4명 검사 중… 22일 오후 결과
인천국제공항ㆍ인천국제항 인근 국가 지정 음압병동 시급

[인천투데이 김갑봉 기자]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늘고, 발생 지역이 계속 넓어지면서 비상이 걸렸다. 중국 정부는 확진 자가 늘자 '신종 코로나'와 전쟁을 선포했다.

(이미지제공 질병관리본부)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2일 인민일보 위챗 계정을 통해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총 32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확진자는 진원지 우한시가 있는 후베이성 270명을 비롯해 베이징 10명, 광둥 17명, 상하이 6명, 저장 5명, 톈진 2명, 후난 1명, 윈난 1명, 허난 1명, 충칭 5명, 쓰촨 2명, 산둥 1명, 대만 1명 등으로, 동북3성과 서북부를 제외한 전역으로 확산됐다.

이 같은 확진 급증은 중국 정부가 사람 간 전염 가능성을 초기에 판단하지 못해 방역 체계가 뚫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인구가 대거 이동하는 최대 명절 춘절을 앞두고 비상체계에 돌입했다.

중국 정부는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연간 중국인 한국 방문객은 약 750만 명으로 추산되는 만큼, 한국 정부도 비상이다. 한국은 중국 내 항공노선 45개(45개 도시), 해운노선 25개(카페리 10개 도시, 컨테이너 15개 도시)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질병관리본부, 유증상자 4명 검사 중… 22일 오후 결과

현재 한국에는 중국인 여성 1명이 인천의 한 병원의 음압병동에서 격리 치료 중인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추가 확진을 검사 중이이라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22일 '신종 코로나' 조사대상 유증상자 4명을 검사 중이라고 했다. 4명 가운데 3명은 앞서 발생한 확진환자 접촉자이고, 나머지 1명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증상자가 직접 신고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들 4명에 대해 우한 폐렴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판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검사 결과는 이르면 오늘 오후에 나올 전망이다.

한편, 중국 정부는 아직 정확한 감염 경로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종 코로나'를 차상급 전염병으로 지정한 뒤, 사실상 총력 대응 체제에 나섰다.

중국 정부는 21일 '신종 코로나'를 사스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에 해당하는 '을류' 전염병을 지정했다. 그러면서 대응책은 흑사병이나 콜레라와 같은 '갑류' 전염병 수준으로 상향했다.

특히, 수억명이 이동하는 춘절을 코앞에 두고 발생함에 따라 이번 주 방역과 통제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사실상 중국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의료원 국가지정음압치료 병상(사진제공 인천의료원)

국가 지정 음압병동 인천의료원 외래환자 끊겨 ‘대책’ 시급

인천에서 격리 치료 중인 중국인 여성은 현재 인천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인천의료원은 국내 최고 수준의 음압 병동을 갖추고 있다.

인천의료원 음압병동은 국가 지정 음압치료병상으로 지정돼 있어, 지난 2015년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 사태 때 인천에서 가장 빠르게 선별진료실을 운영해 의심 환자를 빠르게 격리?치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인천의료원은 확진 이후 6층에 입원했던 환자 일부를 전원 또는 퇴원 시키며 감염 차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6층 병동엔 환자를 포함해 의료진 2명 등 3명 만 남아있는 상태다. 이 때문에 병원 내 감염은 없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인천의료원에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인천의료원의 일반 외래 환자 발길이 뚝 끊겼다. 외래 환자가 끊기면 인천의료원의 수익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음압병동 역할을 포기할 수도 없는 만큼, 역할 구분과 함께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2000년대 들어 2003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에 이어 이번 '신종 코로나' 등 외부에서 국내로 유입하는 바이러스가 늘고 있는 만큼,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에서 바로 격리 치료할 수 있는 국가 지정 음압병동 구축이 시급하다.

인천국제공항ㆍ인천국제항 인근 국가 음압병동 시급

이미 정부는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 대응을 위해 공공의료기관 역할 강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그 일환으로 2018년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은 감염병 대응을 위해 권역?지역?기초책임의료기관 간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또 중앙,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지정 등 전문 진료체계를 마련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그런데 광역시?도 중 권역책임의료기관이 없는 곳은 인천?울산뿐이다. 이렇다 보니 인천은 지역책임의료기관 지정이 더욱 절실하다. 인천의료원이 지역책임의료기관 지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천지역 감염병을 사실상 전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의료원 6층에 마련된 병상은 음압 병상 7개를 포함해 약40개 이상이다. 감염병이 발생할 때 마다 병상 40개를 사용할 수 없는 셈이다. 인천의료원 전체 병상은 295개로 결코 낮은 비율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관문 역할을 하는 인천국제공항은 지난해 7117만명이 이용했고, 2023년 1억 명을 돌파할 예정이다.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의 경우 지난해 105만 명을 돌파했고, 올해 6월 새 국제여객터미널기 개장하면 향후 2025년 200만 명을 돌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그만큼 감염병 의심 또는 확진 환자 발생 시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바로 격리해 치료할 수 있는 국가 지정 음압병동을 현재 인천의료원에서 분리해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