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주 시민기자의 영화읽기
천문:하늘에 묻는다(Forbidden Dream)│허진호 감독│2019년 개봉

[인천투데이 이영주 시민기자] “대호군 장영실이 안여 만드는 것을 감독하였는데 견실하지 못하여 부러지고 허물어졌으므로 의금부에 내려 국문하게 하였다.”(세종실록 1442년 3월 16일)

세종 24년. 세종(한석규)의 행궁 도중 안여(安與:임금이 타는 가마)가 부서지는 사고가 난다. 일명 안여 사건. 이 사고로 안여 제작 총감독 장영실(최민식)은 의금부로 압송돼 국문을 받는다.

장영실이 어떤 사람인가. 조선시대 역사를 조금이라도 배운 사람이라면 세종이 이룬 수많은 업적 중 과학 분야에서만큼은 장영실을 빼놓고는 불가능했다는 걸 모두 아는 과학자다. 세종은 관노 출신인 장영실을 발탁해 면천은 물론이고 정5품이라는 높은 관직까지 내렸다. 그러나 안여 사건 이후 그 어떤 역사에서도 장영실에 관한 기록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천재 과학자였던 장영실. 세종의 총애를 받았던 그가 이 생사는 물론, 발명품의 제작 자료에 대한 기록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의문을 남긴 채 사라진 이유는 뭘까. 누구나 가질 법한 호기심에서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시작한다.

영화를 보기 전까지 허진호 감독과 사극은 영 안어울리는 조합이라 생각했다. 허진호 감독이 누군가. ‘8월의 크리스마스(1998)’로 시작해 ‘봄날은 간다(2001)’로 허진호표 멜로라는 수식어를 만든 멜로영화의 장인 아니던가. 이후 작품들은 전작들만큼 흥행하지는 못했으나 그래도 ‘허진호=멜로’라는 공식은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이런 감독이 역사극이라니. 더구나 숱한 드라마와 영화로 반복해서 재현해온, 그래서 조금은 식상함마저 느껴지는 조선의 대표적 왕 세종 이야기라니. 일단 의구심부터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큰 오산이었다. 2시간 남짓한 러닝타임 내내 절절한 멜로가 가슴을 울린다. 세종과 장영실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의 빈 공간을 채우는 건 보통의 사극, 보통의 세종을 다룬 드라마와는 전혀 다른, 허진호 감독 특유의 섬세한 멜로였다.

조선의 하늘과 시간을 갖고 싶었던 세종의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빼어난 과학자 영실. 허진호 감독이 그려내는 두 사람의 관계는 비단 군주와 신하의 관계에 머무르지 않는다. “북극성은 명나라 황제의 별”이라 씁쓸하게 말하는 세종에게 “북극성은 전하의 별”이라 말하는 영실. “천출은 죽어서도 별이 될 수 없다”고 믿었던 영실에게 북극성 옆의 작은 별을 가리키며 “오늘부터 저 별이 네 별”이라 말하는 세종. 두 사람의 절절한 로맨스는 당시 명나라에치이고 사대주의에 빠져있던 사대부 관료들에게 치였던 세종의 현실과 맞물리며 안여 사건의 비극을 향해 치닫는다.

‘쉬리’ 이후 20년 만에 호흡을 맞춘 한석규와 최민식은 다소 손발이 오그라드는 장면들에 무게를 더하며 20년 연기 내공을 보여준다. 이들이 아니었다면 청춘멜로드라마 뺨치게 달달한 고백과 이벤트(!)로 채워진 이 영화가 사극이라는 장르와 어울리지 않는 불협화음을 냈을 것이다.

조선왕조 500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손꼽히는 세종은 허진호 감독의 ‘천문’에서 이전까지와는 다르게 자기감정에 솔직하고 가끔은 괴팍하게 폭주하기도 하는, 인간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세종이 스테레오타입을 벗어나 이토록 입체적 인물로 그려질 수 있었던 건, 역사적 기록의 빈 공간에 허진호 감독 특유의 멜로 감성으로 영실과의 로맨스를 버무려 넣은 영화적 상상력의 결과다.

보통의 사극영화들이 보여주는 억지스러운 애국심과 과도한 자아도취가 불편해서, 개인적으로 사극영화를 좋아하지 않았다. 허진호 감독의 ‘천문’은 역사적 위인의 업적에 압도당하지 않을 수 있는 새로운 상상력이야말로 세종처럼 반복 재현되는 소재를 식상하지 않게 만드는 힘이라는 걸 명확히 보여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