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 1년 6개월. 인천도시공사 역대 사장들의 평균 임기다. 인천도시공사가 2003년 5월 24일 창립한 인천도시개발공사에 뿌리를 두고 있으니, 그 역사가 16년 6개월가량 됐다. 인천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발탁돼 지난해 12월 27일 퇴임한 박인서 전 사장까지, 그동안 10명이 사장을 했다. 도시공사 정관상 보장된 사장 임기는 3년. 그동안 이를 다 채운 이는 한 명도 없다. 직원이 350명가량 되는 공기업을 대표하고 업무를 총괄함은 물론, 경영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장이 이렇게 자주 교체됐는데 안정적 경영이 가능했을까.

잦은 교체의 일차적 요인은 사장 임면권이 4년마다 선거로 뽑히는 인천시장에 있는 구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공사 사장은 전문경영인이기보다 정무직 인사 성격이 강했다. 역대 사장들이 거의 다 행정 관료나 국가공기업 출신이었음이 이를 방증한다.

그나마 KT 부문 사장 출신으로 경영인으로 평가받은 8대 사장도 임기를 9개월 남겨두고 2017년 3월 돌연 사퇴했을 때, 공사 내부 요인보다는 외부 ‘정치적 환경’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강했다. 여기서 정치적 환경은 2018년 지방선거였다. 당시 인천시장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투자유치와 정비사업 등에서 성과를 내야하는데 사장은 공사 재무구조 안정에 무게를 두고 있어, 교체가 불가피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이번 10대 사장 중도 사퇴도 외부 환경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균형발전정무부시장이 총선 출마를 위해 시를 떠나면서 생긴 일이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다보니 도시공사 직원들의 피로도가 상당하다. 공사노동조합은 10대 사장이 지난해 내정자 신분으로 시의회 인사간담회를 거칠 때 ‘도시공사 최초 3년 만기 사장’이 돼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취임한 지 1년 남짓밖에 안 됐는데 이전 사장들과 마찬가지로 그만뒀다. 본인보다 시장의 의중 때문이겠지만, 공사 직원들에겐 이전과 같은 현상으로 보일 뿐이다. 사장 중도 하차로 그동안 추진했던 조직 개편과 업무가 모두 중지됐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공사노조는 그동안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공사 내부에서 사장이 나올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요구한다. 덧붙여 그것이 ‘자치경영’이라 칭하며 3년 정도 자치경영을 맡긴 뒤 외부 사장과 내부 사장의 경영 효율을 공정하게 평가해 달라고 요구한다. 16년간 임기가 제대로 보장된 사장이 단 한 명도 없었고 공사 내부에서 발탁된 사장도 없었으니, 일리 있는 요구다. 도시공사 경영에 행정 관료와 국가공기업 출신의 경험이 필요했을 때가 있었으나, 그게 지금과 앞으로도 필요한지도 따져볼 사항이다.

시장이 누구를 사장으로 임명할 것이며, 사장 임기를 보장할 것인지 말 것인지는 공사 경영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그동안 경영효율성보다는 정치적 환경을 더 많이 고려했다. 이를 뒤집을 수 있는 용기와 결단을 민선 7기에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