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5%, “정부의 자동차산업 활성화방안 효과 미미”

GM대우의 위기로 협력업체들의 공장가동률이 30~50%선으로 떨어지는가 하면, 평소 인력의 50~60%만 유지하고 있는 기업도 허다하다. 협력업체들은 지난해 가을만 해도 경영위기가 올 상반기 중 다소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세계 경제 불황이 지속되자 이마저도 꺾인 상태다.

GM대우 협력업체 K사장은 지난 4월 <부평신문>과 한 전화통화에서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고 싶다. 지난해 11월보다 더 어렵다. 40명 직원은 20명으로 줄었고, 가동률은 20%대로 떨어졌다. 일이 없으니 막막하다”며 “GM이 파산하면 그 파장이 GM대우로, 다시 1차 벤더에서 2차로, 3~4차로 연쇄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마지막에는 문을 닫을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GM대우 협력업체들은 지금의 GM대우 경영악화가 장기화될 경우 필요한 대책으로 ‘국내기업의 인수’와 ‘공적자금 투자를 통한 정상화’를 손꼽았다. 아울러 이를 위해 정부가 발 빠르게 대처해줄 것을 희망했다.

인천상공회의소(회장 김광식ㆍ인천상의)가 인천지역 자동차산업 활성화 대책 마련을 위해 GM대우 1차 협력업체 4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42개사 응답) ‘GM대우차협력업체 경영실태’ 조사에 따르면, 협력업체들은 GM대우의 경영위기가 장기화될 경우 필요한 대책으로 ‘국내기업의 인수추진’(42.9%)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공적자금 투자’(40.5%)가 그 뒤를 이었다. 외국기업의 인수를 희망하는 업체는 9.5%에 불과했다.

또한 협력업체들은 자기 회사의 대책으로 ‘긴축경영’(41.5%)과 ‘구조조정’(25.6%)을 강구하겠다고 응답했다.
이와 관련, 인천상의는 “GM대우와 관련 협력업체들이 이번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발 빠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 응한 42개사 중 22개사(52.4%)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올해 매출액이 40∼60%정도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응답 업체의 무려 94%가 경영상 가장 큰 어려움으로 ‘매출감소’와 ‘자금부족’을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협력업체들의 경영환경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2개사 중 37개사가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금 확보 시 가장 어려운 점은 금융권의 ‘담보 요구’와 ‘금리 인상’, ‘대출 연장’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와 지자체, 금융권이 상생펀드를 조성하는 등 저금리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협력업체들이 은행창구에서 체감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를 두고 인천상의는 정부의 저금리 정책자금 지원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실질적인 금융지원방안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협력업체들은 정부의 ‘자금지원’(41.5%)과 ‘세제지원’(27.2%)의 확대를 원했으며, 자금지원 시 가장 필요로 하는 자금은 ‘경영자금’(37.1%), 고용유지자금(28.8%), 원자재 구입자금(26.6%)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정부의 ‘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의 효과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 업체의 67.5%가 그 효과가 아주 작다고 응답해 정부의 정책방향을 실질적인 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으로 수정ㆍ보완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협력업체들은 자동차부품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대책으로 ‘자동차부품시장 개선’(48.8%)을 가장 많이 꼽았다. 때문에 정부가 완성차업체의 부품시장 독점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상의는 자동차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차원의 자금 지원방안 마련 ▲GM 본사와의 적극적인 협상 ▲현실성 있는 금융정책 ▲자동차부품시장 개선 지원 대책 마련을 제시했다.

특히, 인천상의는 “성장 잠재력과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 부품업체에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자금지원을 대폭 확대해 인천지역 자동차부품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부품소재산업에 대한 과감한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