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자체 수영장 한 곳도 없어 … 절반 이상 민간 수영장 이용

[인천투데이 장호영 기자]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생존수영이 도입된 후 내년부터 전 학년으로 확대될 예정이지만, 인천의 생존수영시설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박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서초구을)이 17일 교육부로부터 받아 공개한 ‘초등학생 생존수영 교육 현황’ 자료를 보면, 국내 초교 6105곳 중 생존수영 교육시설로 ‘학교 자체 수영장’을 이용하는 학교는 1.1%(67곳)에 불과했다.

자료제공 박경미 의원실.

생존수영교육 시설로 ‘공립 수영장’을 이용하는 학교가 40.1%(2446곳)로 가장 많았고, ‘민간 수영장’을 이용하는 학교 35.5%(2169곳), 교육청 보유 수영장 이용 학교 13.5%(827곳) 순이었다. 학교 운동장 등에 간이 시설을 설치하는 ‘이동식 수영장’ 이용 비율은 1.5%(91곳)였다.

인천은 초교 249곳 중 민간수영장을 이용하는 학교가 168곳(67.5%)으로 가장 많았다. 공립수영장 이용 학교 65곳(26.1%), 교육청 보유 수영장 이용 학교 11곳(4.4%), 이동식 수영장 이용 학교 3곳(1.2%), 타 학교(중·고교) 이용 학교 2곳(0.8%) 순이었다. 자체 수영장이 있는 학교는 없었다.

이는 공립수영장, 교육청 보유 수영장, 학교 자체 수영장 이용 학교의 국내 평균 비율에도 못 미친다. 반면 민간수영장 이용 비율은 67.5%로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국내 전체 학교별 생존수영장 이동수단으로는 학교 임차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58.1%(3548곳)로 가장 많았고, 학교 자체버스 23.0%(1402곳), 도보 15.8%(966곳), 대중교통 2.0%(122곳) 순이었다.

인천에선 학교 임차버스가 177곳(71.0%)으로 가장 많았고, 도보 52곳(20.8%), 학교 자체버스 11곳(4.4%), 대중교통 9곳(3.6%) 순이었다.

박 의원은 “내년부터 생존수영 교육이 초등 전 학년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다면 구색만 갖춘 형식적인 교육에 그칠 수도 있다”며 “생존수영 교육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지역별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특히 교육 소외 지역 학생들의 생존수영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