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강화군에 ‘강화갯벌 등재’ 요청했으나 ‘주민동의’ 부족 누락

[인천투데이 김갑봉 기자] 문화재청과 해양수산부가 서천 갯벌 등 한국 갯벌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 하기 위한 현지실사를 마친 가운데, 강화갯벌이 대상에서 빠져 아쉬움이 남는다.

문화재청과 해양수산부는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을 유네스코 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세계자연유산 자문기구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과 함께 지난달 30일부터 7일까지 갯벌 현지실사를 진행했다.

문화재청이 등재를 준비 중인 한국의 갯벌은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 전남 순천 등 서해에서 남해까지 펼쳐져 있는 갯벌 약 1300㎢ 면적이다.

실사단은 서천 유부도, 고창 만돌리, 신안 선도, 보성 장도, 순천만 등을 걸으며 살아 있는 갯벌을 확인했고, 신안 등 일부 지역은 헬리콥터와 드론을 이용해 조사했고, 지역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도 수렴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심사 결과를 바탕으로 ‘등재 권고(Inscribe)’, ‘보류(Refer)’, ‘반려(Defer)’, ‘등재 불가(Not to inscribe)’ 이 네 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와 당사국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국 갯벌 등재 여부는 내년 7월께 열리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한국 갯벌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면 세계에서 15번째 등재이자, 국내에선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은 두 번째 유산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등재 신청 대상 갯벌에 인천 갯벌은 빠져 아쉬움이 남는다. 특히, 강화도 갯벌의 경우 세계 5대 갯벌에 불릴 정도로 넓은 규모와 다양한 종 생태계를 자랑하는 데 이번 신청 대상에 빠져 아쉬움이 남는다.

인천경제청이 매립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 영종2지구 갯벌 (제공ㆍ인천녹색연합)

문화재청은 2009년부터 해수부와 함께 등재를 준비했고 2015년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최종 신청 대상지를 확정했는데, 강화군 갯벌의 경우 주민동의가 부족해 신청 대상에서 빠졌다고 했다.

인천의 갯벌은 크게 송도 갯벌과 장봉도 갯벌, 강화도 갯벌로 분포하고 있다. 송도 갯벌은 약 6.1㎢이고 현재 람사르습지와 인천시 지정 습지보호구역으로, 장봉도 갯벌은 약 68.4㎢이고 해수부 지정 습지보호구역(해양보호구역)으로 각각 지정 돼 있다.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갯벌은 강화도 갯벌로 면적은 약 256.1㎢이다. 이중 강화 남단에 해당하는 갯벌은 약 90㎢로 조사됐다. 강화도 갯벌은 주민들이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데 부정적이라 보호구역에서 제외 돼 있다.

시 관계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은 문화재청이 습지보호지역과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갯벌을 대상으로 신청하는 사업이다”며 “강화도 갯벌의 경우 문화재청과 해수부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화군과 협력해 등재를 하려고 했으나, 주민들의 동의가 부족해 누락됐다. 강화도의 경우 접경지역 규제와 문화재 보호 규제에 또 규제가 추가되는 것에 주민들이 부정적이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송도 갯벌과 장봉도(영종도 앞) 갯벌의 경우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지만, 개발로 신음하고 있어 문화재청과 해수부가 고려를 안 한 것으로 보인다”며 “강화 갯벌의 경우 문화재청과 해수부가 여전히 중요하다고 여기는 만큼, 추가 등재 신청을 지켜봐야 알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