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인천 한강하구포럼 열려
“한강하구 남북 공동 관리해야”

[인천투데이 이종선 기자] “인천 강화도 젓새우와 황해도 연백 소금이 만나 새우젓이 만들어진다면, 이것이 한강하구에서 작게나마 이뤄지는 남북통일이다.”

‘2019 인천 한강하구포럼’에서 나온 의견이다. 인천시와 (사)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는 ‘통합 물관리 및 남북협력시대 한강하구의 미래 구상’이라는 주제로 지난 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포럼을 개최했다.

인천시와 (사)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는 ‘통합 물관리 및 남북협력시대 한강하구의 미래 구상’이라는 주제로 지난 1일 송도컨벤시아에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정부의 통합 물관리 정책을 기반으로 한강하구를 활용해 인천을 물 순환 도시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남북 협력시대에 발맞춰 한강하구의 미래를 모색해야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김충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연환경연구실장은 발제에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환황해경제벨트와 남북접경지역 평화벨트가 겹치는 곳이 바로 한강하구이며, 그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열린 오슬로 포럼에서 ‘남북접경위원회’ 설치를 북한에 직접 제안하는 등, 한국정부는 남북 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김 실장은 한강하구의 가치를 ‘갯벌의 2.5배, 숲의 25배, 농지의 250배’라고 했다. 하구는 민물과 바닷물이 혼합돼 기수역을 형성하는 곳을 말하는데, 기수역은 염도가 다양해 여러 가지 생물이 사는 만큼 환경가치가 높다. 또한 관광ㆍ여가 등 지역경제와 인간 생활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한강하구는 국내 거의 마지막 남은 자연 하구라, 그 가치는 더욱 크다. 그만큼 남북은 지난 1월 ‘한강하구 공동 수로 조사’를 진행하고 해도를 함께 제작했다. 김충기 실장은 “공동조사로 한강하구가 평화와 협력의 공간으로 거듭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김 실장은 또한 “한강하구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 지속가능한 이용을 해야 한다”고 한 귀 “한강하구는 현재 생태계 훼손이 심각하지만, 남북 협력의 교두보가 되면서 개발 압력이 높아져 환경이슈는 다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강하구의 경제적 가치는 상당하다. 분단의 한이 서린 곳이지만 자연에는 축복의 공간이다”라며 “이곳을 국립공원 등 절대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주변 남북 마을을 복원하는 등, 지속가능한 개발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류종성 안양대학교 교수는 이어진 발제에서 “한강하구를 중립수역으로 설정하고 남북이 함께 서해평화공원으로 조성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서해평화공원은 평화ㆍ환경ㆍ번영을 위한 전략적 체계”라며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상은 한강하구 보호에 한계가 있기에, 이(=서해평화공원)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 교수에 따르면, 남한 갯벌의 20%와 북한 갯벌의 30%가 한강하구에 존재한다. 또한 한강하구에 서식하는 식물 종은 유럽 와덴해 갯벌보다 4배 많으며, 저어새ㆍ두루미 등 세계적 멸종위기 종이 이에 포함된다. 게다가 국내 꽃게 어획량의 40%가 한강하구에서 나온다.

류 교수는 끝으로 “황해도 연안군의 연백제염소는 소금을 매해 8만7000t 생산하며, 강화도는 새우젓을 매해 600억 원(비공식 집계)어치 판매한다. 이 둘이 만나 새우젓을 만든다면 그것이 작은 남북통일이자 한강하구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이다”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발제에 이어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에는 유훈수 인천시 수질환경과장, 김성우 인천연구원 박사, 최혜자 인천 물과 미래 대표,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