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9월 17일 경기도 파주를 시작으로 연천과 김포, 인천 강화로 확산하면서 방역당국이 초비상이다. 27일 오전까지 돼지열병 확진 판정이 나온 양돈 농장은 모두 아홉 곳이고, 그중 다섯 곳이 강화에 몰려 있다. 강화에서 다섯 번째 확진 판정을 받은 돼지 두 마리는 양돈 농장이 아닌 일반 농가에서 기르던 것이라, 방역당국이 감염원인과 경로를 찾는 데 더욱 애를 먹게 한다.

돼지열병은 예방약이나 치료제가 없고 치사율이 100%이기에 방역 당국은 확산을 차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재 방역당국이 사용하는 주된 차단방법은 이동 금지와 살처분이다. 9월 27일 오전까지 살처분 되거나 살처분될 돼지는 모두 6만5000마리나 된다. 이중 강화 돼지가 5000마리를 차지한다. 발병 농가뿐 아니라 반경 3킬로미터 이내 농가 돼지들도 포함했기 때문이다.

공들여 키운 돼지들을 죽여 없애야하는 농장주의 아픔을 어찌 헤아릴 수 있을까. 또한 살처분으로 동물이 고통을 겪는 것은 물론, 살처분 작업에 투입된 인력 역시 트라우마로 고통에 시달린다. 방역당국이 살처분 작업 후 트라우마 예방교육과 심리 상담을 지원하기로 했다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이처럼 가축전염병 피해는 막대하다.

하지만 가축전염병 창궐이 매해 반복되는데 정부의 대응과 예방은 거의 바뀌지 않는다. 물론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이번 돼지열병처럼 가축전염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 감염 경로가 다양하고 광범위해 예방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대비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가축전염병 발생과 확산의 주요 요인으로 공장식ㆍ감금틀 축산이 지목된 지 오래다. 농장에서 대규모로 사육되는 돼지들은 면역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좁고 더럽고 악취 나는 우리에서 몸집만 키워지는 사육방식 때문이다. 무분별한 항생제 투여는 사람의 건강도 위협한다. 감금틀과 집단 사육방식을 줄여나가야 한다. 돼지열병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음식물쓰레기 급여를 금지해야한다. 동물복지축산농장인증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지원을 강화해야한다.

또, 도로 인접 축사, 밀집 축사 등 가축전염병 피해 농장의 입지 특성을 면밀하게 분석해 축사의 공간단위를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농촌 등 비도시지역 토지이용 관리는 방역이나 재난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방역 조치 차원을 넘어 공간적 측면에서 접근해 토지이용 계획 개편하는 등,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