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 심혜진 시민기자] “처서가 지났으니 여름도 다 갔네. 금방 서늘해지겠어.” 안부 전화를 걸었더니 엄마가 어김없이 절기를 콕 짚어준다. “기상청 예보는 틀려도 절기는 어긋나지 않는다”는 강한 믿음으로 70년을 살아오신 엄마다. 특히 엄마가 해마다 잊지 않고 언급하는 절기는 ‘하지(6월22일 무렵)’다. “오늘은 일 년 중에 낮이 제일 긴 날이야.” 앞말도, 뒷말도 없이 이 말로 끝이다. 언젠가 엄마에게 물었다. 하지에 무슨 좋은 일, 잊지 못할 일이라도 겪은 거냐고. 알고 보니, 하지 무렵엔 낮이 길어 농사일을 무척 많이, 오래 했단다. 엄마의 뇌와 몸에 남은 고된 농사일의 기억이 해마다 ‘하지 타령’을 불러오고 있었던 모양이다.

엄마는 옛사람들이 정해 놓은 절기가 ‘딱 들어맞는 것이 기가 막히다’며 그들의 지혜를 칭송한다. 과학 기술과 장비가 부족했던 시절에 자연의 원리를 이해한 것은 정말 대단한 지혜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24절기는 자연을 오래 관찰해 얻은 결과물이다.

농사에는 날씨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어느 때에 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수확하느냐는 생존과 직결한 문제였다. 옛 중국인들은 오랜 실패와 성공의 경험 끝에 하늘을 비롯한 자연에 어떤 반복된 규칙이 있음을 깨달았다. 특히 지표면과 태양이 이루는 각, 즉 태양의 고도는 일조량, 강수량, 기온, 습도와 직접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태양의 고도가 높을 때, 즉 여름엔 낮이 길고 덥고 비가 많이 내리며, 고도가 낮은 겨울엔 밤이 길고 건조하고 작물이 얼어버렸다. 그들은 태양이 뜨고 지는 자리가 마치 별자리처럼 날마다 조금씩 달라진다는 걸 알았다. 해가 정확히 동쪽에 뜨는 춘분을 기준으로, 날마다 대략 1°씩 이동하는 태양의 하늘길을 15° 간격으로 나눠 24개 절기에 이름을 붙였다.

태양이 타원 궤도를 도는 탓에 15°를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조금씩 달랐다. 하지만 1년을 주기로 해마다 같은 날, 같은 하늘길을 지나는 건 변함없었다. 그리고 사람들은 절기마다 일어나는 자연 현상과 해야 할 농사일을 되새겼다.

경칩(3월 5/6일)엔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고,청명(4월 4/5일)은 봄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다. 망종(6월 5/6일)은 한자로 ‘보리 씨앗(芒種)’이란 뜻이니, 이때 보리를 심는다. 예전에 아래 지역에서는 감자를 ‘하지감자’라 불렀는데, 하지 무렵 감자를 모두 수확했기 때문이다. 하지가 지나면 곧 장마가 오고, 장마가 오면 감자가 다 썩으니 오래 심어둘 수 없었다.

절기는 태양의 고도와 낮의 길이와 관련이 깊다. 태양의 고도가 높고 낮이 가장 긴 하지와 가장 짧은 동지는 낮 길이가 5시간 정도 차이가 난다. 이 5시간 차이가 기온과 바람 방향, 구름 양 등, 많은 것을 달라지게 한다. 절기가 정확할 수밖에 없는 건,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

사실 움직이는 건 태양이 아니라 지구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타원으로 돌며 같은 시기, 같은 자리를 지나기 때문에 이 모든 예측이 가능하다. 올해도 처서, 입추, 동지를 잊지 않고 차례로 읊을 엄마는 태양의 고도며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었는지 바로 섰는지 따위의 지식은 알지 못한다. 그러나 자연의 흐름에 인간이 어떤 삶으로 응답해야하는지는 평생 잊지 않고 사셨다.

태양이 비출 땐 움직이고, 비추지 않을 땐 쉬는 단순한 삶. 어쩌면 부지런함이란 태양의 빛에 순응하는 태도와 행동을 뜻하는 게 아닐까.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고 낮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가을이 왔으니, 나도 쉴 채비를 해야겠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