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은 해수부 3차 항만기본계획과 제주 카페리 복원에 ‘역행’

장정민 옹진군수가 3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1국제여객터미널 매각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인천투데이 김갑봉 기자]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방안이 화두로 부각했다. 인천항만공사는 매각하겠다고 했지만 항만업계의 반발 여론이 심상치 않고, 옹진군도 반대 의사를 밝혔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이 해양관광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현재 협소한 연안여객터미널을 제1국제여객터미널로 이전하는 게 필수 조건”이라며 매각 철회를 촉구했다.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은 올해 12월 인천남항에 새 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 그곳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전으로 활용방안이 화두인데 인천항만공사는 매각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사는 재산매각으로 항만공사의 수익성을 확보하고, 민간이 개발부지로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새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공사를 항만공사가 맡기로 할 때 사업 타당성 확보 방안으로 제1여객터미널을 매각하겠다고 제시한 만큼, 매각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하지만 항만업계와 옹진군의 입장은 다르다. 항만업계 부두기능 재배치를 통해 제주 노선을 비롯한 연안여객 카페리 부두로 활용하자는 입장이며, 옹진군 또한 연안여객터미널로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사 계획은 정부 계획과 배치된다.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6년~2020년)을 보면 국제여객터미널의 기능은 2020년부터 연안여객과 도서화물을 취급하게 함으로써 항만기능 수행을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국가시설인 항만을 국내·외에 매각한 전례도 없다.

하지만 인천항만공사(IPA)는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에 명시돼 있는 제1국제여객터미널(면적 5만3천253㎡)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장정민 군수는 “공사는 매각을 위해 2015년 제1국제여객터미널 이전 용역을 실시했고, 부동산투자자문회사와 건축사 등이 용역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처음부터 항만시설을 부동산 개발로 방향을 정해놓고 시행한 것이 아닌지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장 군수는 아울러 비슷한 시기에 인천시와 중구청이 진행한 ‘인천항 제1·2국제여객터미널 존치 및 활용방안 수립용역’ 결과를 공개하며, 매각에 중점을 둔 공사의 용역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부연했다.

공사 매각 계획은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두 안벽으로 부터 30m(항공 사진 참고)를 제외한 나머지 부지를 전부 매각하는 것이다. 장 군수는 이미 포화상태인 연안여객터미널 이용자들이 이중고를 겪게 될 것이라고 했다.

현재 연안여객터미널은 지상 3층에 연면적 5482㎡ 규모로, 연간 약 10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인천보다 여객이 1.5배 적은 목포 연안여객터미널(지상 4층, 연면적 1만1600㎡) 보다 적다.

게다가 매각은 제주 노선 복원과도 모순이다. 공사는 제1여객터미널 자리에 세월호 참사 이후 운항이 중단된 ‘인천~제주’ 카페리를 복원하겠고 밝혔고, 사업자 선정을 마쳤다.

대저해운은 세월호의 3.6배에 달하는 2만4000톤급 카페리(여객+화물) 오리엔탈펄8호로 현재 광양항에서 운항을 준비 중이다. 오리엔탈펄8호는 최대 승객 1500명과 차량 120대, 컨테이너 214TEU(1TEU = 6m짜리 컨테이너 한 개)를 싣고 22.3노트(시속 41.3㎞)로 운항할 수 있다.

장정민 군수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매각이 이루어지면 세월호 당시 매년 12만 명의 여객선 이용객이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을 이용해 매표와 대기장소를 이용하게 돼 이용자 불편은 가중될 것이다”고 우려를 표했다.

장 군수는 “타 지역 항만공사는 유휴 시설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데 반해, 인천항만공사는 전례 없는 매각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며 “바다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인천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선 매각을 중단하고, 연안여객터미널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항만업계도 매각 대신 부두로 활용하자는 게 중론이다. 인천항발전협의회는 “새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정책 결정 당시에는 매각을 내걸었더라도 이제는 매각 없이 건설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고, 남북관계 개선 등 여건 변화가 있는 만큼, 매각을 접고 부두기능 재배치를 통해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게 인천 발전을 위한 길”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