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성장해도 ‘내 소득’은 제자리 ‘격차 해소ㆍ양질 일자리’ 과제
시, 비멕벨트ㆍ공항경제권ㆍ일자리위원회 등으로 일자리 창출

인천 GRDP(=지역내총생산) 성장 추이.

인천 GRDP 국내 2위, 성장률 특ㆍ광역시 1위

인천시의 GRDP(지역내총생산)가 부산을 제치고 서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경제성장률 또한 특ㆍ광역시 1위를 기록하며 성장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하지만 1인당 개인소득은 1755만원으로 특ㆍ광역시 중 6위, 1인당 민간소비는 1449만원으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인천의 경제 규모가 커지긴 했지만 시민들의 소득은 경제 성장에 비례하지 않고, 높은 역외소비율로 지역의 부가 순환되지 않는 만큼 대책이 요구된다.

시는 통계청의 ‘2017년 지역소득 보고서’를 토대로 인천의 GRDP가 약 84조590억 원으로 특ㆍ광역시 중 서울(372조1100억 원) 다음으로 높다고 밝혔다. 그동안 2위를 차지했던 부산은 83조2990억 원을 기록하며 3위로 밀렸고, 울산과 대구가 그 뒤를 이었다.

인천의 GRDP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광역시 중 순위는 2011년~2013년 4위, 2014년~2016년 3위를 기록한 데 이어, 이번에 처음 2위로 올라섰다.

경제 규모만 커진 게 아니라 경제성장률 또한 특ㆍ광역시 중 가장 높은 4.0%를 기록했다. 이를 국내 광역자치단체로 확대해도 경기도(5.9%)와 제주도(4.9%)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라,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인천은 외국인직접투자(FDI) 측면에서도 2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외국인 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시의 외국인 직접투자 도착액은 48억 달러로 2016년 8억 달러, 2017년 9억 달러 대비 대폭 증가했다. 이는 서울(72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 실적이다.

인천의 일자리 지표 또한 청신호다. 2018년 11월 기준 인천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5.8%로 전년 동기(64.4%) 보다 개선됐다. 고용률은 63.3%로 서울, 부산을 제치고 특ㆍ광역시 중 1위를 차지했다.

청년 고용률의 경우 2017년 4분기부터 2018년 4분기까지 5분기 연속 특ㆍ광역시 중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청년고용률은 평균 42.7%, 7대 도시 평균은 41.2%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은 47.9%를 기록하며 7대 도시 중 1위다.

인천의 이 같은 외형 성장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성장과 중국과 동남아 교역량 증가에 따른 인천신항의 성장, 그리고 인천국제공항의 여객과 화물 물동량 증가에 따른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인천의 국내 GRDP 비중은 4.9%로 추계인구 비중 5.7%보다 낮고 1인당 개인소득은 1755만 원으로 특ㆍ광역시 중 6위(17개 광역지자체 중 16위), 1인당 민간소비는 1449만 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1인당 개인소득은 서울 2143만 원, 울산 1991만 원, 대전 1845만 원, 부산 1833만 원, 대구 1757만 원, 인천 1755만 원, 광주 1734만 원이다. 인천의 역외소비율은 53%로 그나마 지역에서 발생한 부가가치가 역외로 유출되는 구조다.

아울러 지표상 청년고용률이 높은 것은 인천의 청년이 인천에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타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발생한 착시효과일 가능성이 높다. 전체 청년수가 줄어들면서 고용률이 높아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인천의 경제 규모는 커져도 시민소득은 제자리 ‘과제’

인천의 GRDP는 제조업과 운수업이 각각 25.5%, 11.3%를 차지하며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현재 인천에는 11개 국가ㆍ지방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고, 중소제조업체 1만 개 이상이 가동되고 있다.

즉,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존 산업단지의 산업구조고도화와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조성된 첨단산업단지에 바이오산업과 첨단자동차산업, 항공산업, 물류산업, 관광산업 등의 산업 집적화가 요구된다.

운수업은 반도체와 자동차산업 성장에 힘입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특ㆍ광역시 중 유일하게 6년 연속 수출성장세를 유지하며 지난해 사상 처음 수출액 408억 달러를 달성하며 GRDP 성장을 견인했다. 여기다 올해 4월 크루즈터미널 개장은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는 인천신항 배후단지 조성 지연과 정부 재정투자 역차별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아울러 매년 30% 이상 성장하고 있는 중국 전자상거래시장과 남북관계 개선에 대비해 인천공항 배후단지에 물류단지를 추가로 확보하는 게 요구된다.

특히,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있는 인천신항과 인천국제공항의 배후단지만큼은 동북아 허브항만과 공항의 경쟁이 치열한 만큼 자유무역지대로 지정하고, 수도권정비계획법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시급하다. 수정법에 묶여 있는 한 중국에 허브 지위를 내줄 수밖에 없다.

인천의 경제규모가 커지고 성장세에 있음에도 1인당 소득은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만큼, 소득 격차를 해소하고 가계 가처분소득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비정규직 임금 차별 해소와 정규직화, 인천공항 등 공공부문의 정규직화, 가계 가처분소득 증진을 위한 의료ㆍ교육ㆍ주거ㆍ사회복지의 공공성 확대가 요구된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지난 15일 지난해 12월 발표된 정규직전환 합의 철회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사진제공ㆍ인천공항지역지부)

 

  

 

 

 

 

 

 

 

비멕벨트와 공항경제권 육성, 일자리위원회로 일자리 창출

시는 역외소비를 줄이고 역내 소비를 늘리기 위해 인천형 전자상품권 ‘인천e음카드’를 활성화하고, 인천을 드론사업의 메카로 육성하는 한편 인천 공항경제권 구축을 위해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비즈니스ㆍ물류ㆍ첨단산업ㆍMRO(항공정비) 등의 산업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또 송도의 바이오ㆍ의료산업을 남동공단 내 뿌리산업(제조업)과 인천의 대학교를 연계해 B-Mec(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크리에이티브) 벨트 조성을 추진하며, 2025년까지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부두 건설을 추진한다.

인천의 산업단지의 경쟁력 제고와 노동자의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선 구조고도화와 스마트혁신산단으로 개편을 추진하고, 청년 지원을 위해 지난해 11월 개소한 청년창업사관학교를 내실있게 운영하고 창업마을 ‘드림촌’으로 혁신 창작공간을 제공한다.

또 시가 건설하거나 관리하는 임대주택의 경우 신혼부부나 청년층이 우선 입주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해 취업과 창업, 일자리 사업, 구직, 구인 등 일자리 정보를 통합해 양질의 일자리를 발굴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