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철 인천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

신규철 인천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

인천국제공항은 하루 20만 명이 항공편 1000회를 이용하는 세계적 허브공항이다. 올해 1월 제2터미널 개장으로 72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됐다. 올해 이용객은 6700만 명. 2023년이면 연간 1억 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돼 제3터미널 건설이 급한 상황이다.

12월 19일 인천공항공사 차기 사장 후보를 추천하는 임원추천위원회가 열렸다. 차기 사장은 인천공항 4단계 건설 사업과 비정규직 정규직화 전환 등을 순조롭게 추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인천지역사회가 차기 사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 경제정책의 중요한 파트너이기 때문이다. 정일영 현 사장은 인천지역사회와 협력을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천시는 2000년 인천공항 개항 이후 지방세 총1614억 원(부동산 취득세의 40%)을 깎아줬으나 지난해 지방세 감면 조례를 폐지했다. 이로 인해 양쪽 관계는 한동안 냉랭했다. 200억 원을 약속했다가 절반으로 줄였지만 인천 항공 산업 산학융합지구 조성에 인천공항공사는 100억 원을 기부했다. 인천공항과 지역산업 발전에 공동의 이해를 가지고 협력한 결과다.

또한 12월 3일에 두 기관은 인천상공회의소,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인천산학융합원과 함께 항공정비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가칭 ‘항공정비 산업 육성 공동추진단’ 구성도 합의했다. 이는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정비 결함으로 인한 항공기 출항 지연이 매해 증가 추세에 있고, 연간 4조 원에 가까운 국부가 항공정비(부품 포함)를 위해 해외 위탁비용으로 유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항공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외 위탁이 아닌 인천공항 안에서 운항경정비, 기체중정비, 엔진정비 등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격납고 등을 구축해야한다. 여기에 인천지역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남동산업단지 등 자동차부품 중심의 산업구조를 고부가 가치의 항공기 부품 제조업으로 고도화할 수 있다.

이렇게 인천공항과 인천의 발전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돼있다. 이는 산업적 측면만이 아니라 도시 미래비전 측면에서도 관련이 있다. 국토교통부는 공항경제권 선정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고, 인천시도 인천 공항경제권 구상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는 공항의 기능과 역할이 1세대(여객ㆍ화물운송), 2세대(배후 물류단지), 3세대(리조트 등 복합단지)를 거쳐 경제활동(글로벌 교역ㆍ생산) 거점의 4세대 개념으로 전환 중이며, 해외 주요 나라는 항공허브 기능과 더불어 공항을 중심으로 첨단산업과 물류, 업무와 관광ㆍ문화 등을 융합한 경제권을 도입해 경쟁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인천공항은 물류단지와 국제업무지구(IBC) 등이 조성돼있으나 공항 중심의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고, 인천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공항은 여객기능 위주여서 산업 연계가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인천공항의 패러다임을 경제활동 중심으로 전환하고, 산업ㆍ비즈니스 등과 결합해 신 성장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새로운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 정부의 공항경제권 개념 도입은 인천에 호재다. 박남춘 시장도 취임 100일을 맞아 발표한 시정 비전에서 인천공항과 연계한 일자리 창출과 산업 육성을 중요과제로 선정했다.

이러한 일에는 시민의 주체적 참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12월 19일 인천지역 대부분의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민관협의기구 ‘시민정책네트워크’가 인천 항공정비 산업 육성을 위한 결의문을 발표했다. 2015년 7월부터 12차례에 걸쳐 진행해온 항공정책 민관협력회의 결과물이다. 사업 우선순위는 정치적 협의의 결과다. 인천공항에 대한 인천시민의 관심만큼 정부의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기관끼리의 협력만이 아니라 시민이 참여하는 민관협력의 토대 위에서 추진해야하는 이유다. 인천공항 차기 사장은 인천지역사회와 협력을 주요 역할로 두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