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하연 시민기자의 그림의 말들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와 잔 에뷔테른

그때그때 느끼는 대로
 

잔 에뷔테른-배경에 문이 있는 풍경|1919~1920|개인 소장.

왼쪽으로 살짝 기울인 길쭉한 얼굴, 애수어린 표정, 가늘고 긴 목, 아몬드 모양의 눈동자 없는 공허한 눈, 둥글게 늘어진 어깨. 붉은 색과 짙은 청색, 톤 다운된 노랑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다. 전체적으로 따뜻한 분위기에 살짝 기울인 자세가 다소곳하게 느껴지는 이 그림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1884-1920)가 그린 ‘잔 에뷔테른-배경에 문이 있는 풍경’이다. 치마 아래 배가 불러있는 이 그림은 잔이 그의 둘째 아이를 가졌을 때 모습이다.

눈동자를 그리지 않는 그를 두고 ‘그가 모델의 눈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소심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심리 분석가들이 있다. 이미 그는 다른 세상에 있으니 그 이유를 알 수 없으나 내 생각은 다르다. 어떤 그림은 눈의 높낮이가 다르고, 또 어떤 그림은 한쪽 눈에만 동공이 있기도 하고, 두 눈 다 동공이 없기도 하다. 아마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감당해야하는 삶의 무게나 외로움을 그때그때 그가 느끼는 대로 표현한 것 같다. 그만의 독특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가난이 변화를 요동치게 만들다

모딜리아니는 1884년 이탈리아 북부 리보르노에서 유대계 가문의 네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병약해 늑막염, 폐결핵 등 각종 질병에 시달렸던 그는 일찍이 학업을 그만두고 그림을 그렸다. 1898년 이탈리아 풍경화가 굴리엘모 미켈리에게, 1902년 피렌체 미술아카데미에서 조반니 파토리에게, 다음해 베네치아로 가서 1905년까지 공부했다.

1906년, 22세인 그는 드디어 예술가들의 성지인 파리에 합류했다. 그는 ‘모디’라는 애칭으로 불렸는데, 이 말은 발음상 프랑스어로 ‘저주받은 사람’이란 의미와 같다. 마치 그의 운명처럼. 서양 미술사상 가장 잘 생긴 화가로 손꼽히는 그가 사랑과 자유의 상징인 몽마르트에 둥지를 틀었으니 스캔들이 생기는 건 당연지사. 많은 여자들의 사랑과 관심이 그에게 쏟아졌다.

그는 콜라로시 아카데미에서 인체 소묘와 유화를 공부하며 당시 입체파를 이끌던 피카소 등 여러 예술가와 친분을 나누고, 그림에 있어서는 폴 세잔의 영향을 받는다. 아방가르드한 작품들이 대세를 이룬 가운데 그는 홀로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초상화를 주로 그렸다. 사람을 좋아했고 주변 사람들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그 내밀한 정서를 표현하고자하는 열정이 매번 붓을 잡게 만들었다. 이 무렵까지 그가 그린 그림들의 인체 비례는 정상적이다. 그림은 팔리지 않았고 가난은 그로 하여금 변화를 요동치게 만들었다.

조각에서 자신만의 화풍을 찾다
 

모딜리아니|1919|잔 에뷔테른|개인 소장.

1909년 그는 몽파르나스로 거처를 옮기고 조각가 콘스탄틴 브랑쿠시와 교류하며 조각에 매료된다. 특히 고대 에투르스크 조각과 아프리카 원시 조각에 심취해 5년간 30여 점에 이르는 특유의 길쭉한 석조 두상을 제작했다. 그러나 비싼 재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웠고, 게다가 작업 중에 발생하는 먼지는 결핵으로 손상된 폐를 더욱 악화해 결국 조각을 그만둔다.

조각은 멈췄지만 그는 회화에서 새로운 길을 찾았다. 조각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가늘고 긴 얼굴, 기다란 목, 둥글게 내려오는 우아한 어깨선. 헛된 시간은 없다더니 그 과정으로 그는 그만의 화풍을 찾았다.

“그의 예술은 개인적 감정을 표현한 결과물이다. 작업할 땐 마치 신들린 사람 같았고, 한번 시작하면 멈추지 않고 데생을 계속했는데, 이미 그린 것을 수정하는 법도 없고 한 순간도 생각하느라 멈추는 법도 없었다. 곁에서 보기에 완전히 본능적인 확신과 넘치는 감수성으로 작업하는 것 같았다. 아마도 그의 이탈리아적인 기질과 르네상스 미술에 대한 애착이 그런 식으로 나타나는 것 같았다”(조각가 자크 립시츠)

사랑을 나누고 예술적 유대감을 공유하다
 

잔 에뷔테른|모딜리아니|1917~1918|개인 소장.

1917년 몽파르나스의 카페에서 33세의 모딜리아니는 러시아 조각가 차나 오를로프의 소개로 화가 지망생 19세 잔 에뷔테른(1898-1920)을 만났다. 잔은 13세에 그린 그림이 소설 ‘기아와 비탄의 날들’에 삽화로 쓰일 만큼 그림 실력이 좋았고, 이후 디자인 공부를 하며 옷과 장신구를 직접 만들어 착용할 정도로 예술적 감각도 뛰어났다.

잔은 중산층 집안의 딸로 부족함 없이 자랐다. 그런 그녀의 가족이 술과 마약에 찌들어 방탕한 생활을 하는 가난한 화가와 교제하는 걸 허락할 리 없다. 가족의 반대에도 둘은 동거에 들어간다. 그의 작업실이 신혼집이 됐다. 둘은 서로 상대방의 모습을 그리며 사랑을 나누고 예술적 유대감을 공유한다.

잔이 그린 모딜리아니 초상화를 보자. 도상학적으로 턱을 괴는 자세는 멜랑콜리를 의미한다. 단정한 옷차림, 잘 생긴 얼굴, 우울한 사색에 빠진 모딜리아니. 그녀의 눈에 비친 그의 모습이다. 모딜리아니도 잔의 초상화를 그렸다. 눈동자가 왜 없는지 묻는 잔의 질문에 “당신의 영혼을 다 알고 난 후에 눈동자를 그리겠소”라고 답했다는 모딜리아니는 아마도 이 그림을 그릴 때는 그녀의 영혼을 보았나보다.

하지만 이후의 작품에 다시 눈동자가 없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온전히 안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그녀를 알 것 같은 날도, 전혀 알 수 없는 날도 있었을 테니. 그는 보이면 보이는 대로, 보이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대로 표현했다. 놀라운 건 눈동자가 없는 눈에서 그 영혼의 깊이가 더 느껴진다는 점이다.

땔감을 살 돈조차 없었지만 서로 온기를 나누며 둘은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이 해에 모딜리아니는 생애 첫 전시를 여는데, 그가 그린 누드화 몇 점이 미풍양속을 해친다는 이유로 철거 명령을 받아 전시는 서둘러 문을 닫고 만다. 허무하게도 그의 첫 전시는 마지막 전시가 돼버렸다. 시간이 흘러 2015년, 외설이라는 이름으로 외면 받았던 그의 작품 중 하나가 미국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1억 7040만 달러(한화 약 1972억원)에 낙찰됐다. 당시 세계 미술품 경매 사상 역대 2위에 해당한다. 가난 때문에 사랑하는 여자와 생이별을 하고 쓸쓸히 죽어야했던 그를 떠올리면 인생이 참….

천국에서도 그의 모델이 되기 위해
 

자살|잔 에뷔테른|1920년경|개인 소장.

전시가 망하면서 그는 크게 휘청거렸다. 그런 그를 간신히 지탱해준 건 잔이다. 다음해에 둘 사이에 딸이 태어났다. 건강이 나빠진 그를 위해 따뜻한 남부 니스로 거처를 옮긴다. 이곳에서 그는 그녀와 동네 아이들의 초상화를 그렸고, 거장이 된 르노아르(당시 니스에 거주함)의 초대로 그의 집을 방문하기도 했다. 서로 예술적 취향이 다른 관계로 분위기는 서먹했으나 가난한 그를 위해 르노아르가 경제적 지원을 했다.

둘째아이를 임신한 채로 둘은 다시 파리로 돌아온다. 너무나 가난해서 빵 한 조각 마음대로 먹을 수 없었던 잔은 어린 아이를 데리고 고통의 겨울을 견딜 수 없어 결국 친정집으로 들어간다. 친정에서 그녀를 받아줬지만, 그를 받아 주진 않았다. 그녀와 딸에 대한 그리움으로 굳게 닫힌 그녀의 집 앞에서 속수무책 기다린 날들이 지나갔다. 그리움과 무력감에 그는 점점 무너졌다.

1920년 1월 24일, 그는 그녀에게 ‘천국에서도 나의 모델이 되어 달라’는 유언을 마지막으로 눈을 감는다. 그의 나이 36세였다. 그의 동료들이, 가족들이 그의 장례를 치르느라 정신이 없을 때 잔은 그곳에 없었다. 다음날 새벽, 그녀는 만삭의 몸으로 자신의 6층 방 창문을 열고 아래로 투신한다. 22세의 젊은 영혼은 뱃속의 아이와 함께 그렇게 사라졌다.

‘자살(1920년경)’은 그녀가 죽기 직전 그린 그녀의 마지막 작품이다. 그녀는 그가 그리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을 예감했나보다. 그의 죽음을 감당하기 어려운 그녀는 자살을 예고하는 그림을 그렸다. 오른손에 칼을 쥐고 쓰러진 가슴에서는 피가 솟구친다. 그녀의 이런 행동을 감히 비난도, 완벽한 이해도 못한 채 그저 가슴이 먹먹하다. 죽음을 택한 타인의 고통 앞에 부질없는 오지랖은 사양한다. 천국에서도 그의 모델이 되기 위해 기어이 그녀는 갔다.

둘의 장례식은 각각 다른 곳에서 치러졌고, 다른 곳에 묻혔다. 10년이 흐른 뒤 모딜리아니 가족과 지인들의 간청에 그녀 가족도 마음을 풀고 그녀를 그의 곁으로 데려온다. 파리의 페르라셰즈 묘지. 그 묘비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화가. 1884년 7월 12일 이탈리아 리보르노에서 출생. 1920년 1월 24일 파리에서 사망. 막 영광을 움켜쥐려는 순간에 죽음이 그를 데려가다”

“잔 에뷔테른. 1898년 4월 6일 파리에서 출생. 1920년 1월 25일 파리에서 사망. 목숨까지 바친 헌신적인 동반자”

딸 지오바나는 모딜리아니의 누나가 키웠다. 누나는 화가로 불행히 살다간 동생의 인생을 지오바나에게 알리지 않았다. 자신의 부모를 알지 못하고 자란 그녀는 나중에 부모에 대해 알게 되고 미술사가가 된다.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자료를 모아 ‘모딜리아니, 인간과 신화(1959)’를 펴낸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