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국립대 역할 뿐만 아니라 인천시민들의 대학임을 잊지 말아야"

인천대학교 대학본부 (사진제공ㆍ인천대학교)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의 민주화운동 역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와 관련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인천연수을)의원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2018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동성 인천대 총장에게 “인천대는 다른 국립대와는 다르게 거점국립대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인천시립대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박 의원은 “인천시민과 정치권, 시민사회의 도움으로 인천대는 시립대학에서 국립대학법인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만큼, 인천에서 시립대학으로의 역할도 해야 한다”며, “인천대가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이란 원대한 포부에 집중해 바이오대학 등 사업에 학교의 역량을 쏟지만, 단시일 내에 이룰 수 없는 목표”라고 했다. 이어 “그 사이 부패한 사립대를 시립대를 거쳐 국립대학으로 만들어준 인천시민을 위한 역할은 외면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인천대는 1979년 옛 선인학원의 공과대학으로 출발했다. 선인학원의 비리와 부패로 학원민주화 운동이 학내에 벌어졌고, 1986년 단일학교 최초로 휴교령이 내려지는 등 학내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학원민주화 운동으로 1994년 시립인천대학교로 전환됐다.

학내 구성원 뿐만 아니라 인천시민과 정치권 등이 힘을 보태면서 이룬 성과다. 인천대 시립화는 사적 영역에 있던 대학교육을 공적 영역으로 편입시킨 국내 최초의 사례다.

옛 선인학원은 인천대뿐 아니라 중ㆍ고등학교 등 인천지역 사립학교 재학생의 1/3이 다닐 정도로 거대한 사학이었지만 사학비리로 학생과 학부모들이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선인학원 내 있었던 16개 학교들은 시·공립화 후 안정을 찾았고, 인천대는 시립화 이후 양적ㆍ질적 성장을 가져왔다. 시립화 이후 인천시민들은 300만 도시에 제대로 된 국립대학이 없는 현실을 감안해 인천대를 국립대학으로 전환을 요구해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됐다.

박 의원은 “인천대의 이런 변화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고등교육 역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조동성 인천대 총장에게 “인천대 학원민주화 운동에 대한 학술적 정리와 함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조동성 인천대 총장은 “필요한 지원을 해 나겠다”며, “인천대는 2019년에 인천대학원민주화 운동 역사 자료 등을 모아 관련 홈페이지를 오픈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