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선미 인천여성회 회장

2013년부터 매해 8월 14일은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이다. ‘세계 위안부의 날’이라고도 한다. 기림일은 바람직한 정신을 기억하는 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8월 14일은 ‘위안부’ 피해자이자 생존자였던 고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에 기자회견으로 ‘위안부’의 피해사실을 증언한 날이기도 하다. 수십년을 고통 속에 살아오다 ‘내가 피해자다, 내가 생존자다, 내가 증거다, 내가 역사다’라고 외칠 수 있던 것은 대단한 용기이다.

이후 ‘위안부’ 생존자들이 본격적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그 후 2012년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연대 단체들이 개최한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8월 14일을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제정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일제 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8월 14일을 국가기념일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했다.

김학순(1924~1997) 할머니는 일본군 성노예제의 피해자이며 여성운동가였다. 영화 ‘허 스토리’의 장면처럼 증거가 없다고 발뺌하는 일본 정부에 맞서 할머니들은 ‘내 몸이 증거고 역사’라고 말했다. 시련과 역경 속에서도 일본군 ‘위안부’의 참혹한 실상을 증언하고 수요시위에서 끝나지 않은 싸움을 여전히 이어오고 있다.

수요시위는 매주 수요일 정오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열린다.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전 일본 총리의 방한에 맞춰 시작해 한 주도 거르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오는 8월 15일 수요일은 제1348차 수요시위다. 수요시위로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전쟁범죄 인정, 진상 규명, 공식 사죄, 법적 배상, 전범자 처벌, 역사교과서에 기록,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등이다. 이 요구가 이뤄지려면 2015 한일 합의 무효, 화해치유재단 해산, 일본정부에 10억엔 반환이 선결돼야한다.

지난 6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화해치유재단의 즉각적 해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화해치유재단은 2015년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일본 정부에서 받은 10억엔을 출연해 2016년에 설립됐고, 현재 유명무실한 상태다. 그럼에도 재단 운영비에 일본이 낸 돈이 사용되고 있다.

‘위안부’ 생존자인 김복동 할머니는 병상에 누워서도 “일본의 위로금은 돌려보내야한다. 법적 사죄와 배상을 하면 되는 일이다. 그래야 우리가 일하기 쉽다”고 말했다. 화해치유재단의 해산과 더불어 얼마 전 보도된 양승태 대법원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재판 개입 의혹도 철저하게 수사하고 처벌해야한다.

현재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8명이 살아계신다. 평균 연령 90.9세, 이 분들의 바람은 2015 한일 합의가 무효화되고 정의로운 해결이 이뤄져 ‘죽기 전에 일본 정부로부터 사죄와 배상이 이뤄지는 것’이다.

8월 14일, 제6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첫 번째 기림일에 그분들의 삶과 운동의 역사를 기억하고 더 널리 알리기 위한 행동을 해야 한다. 일본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으로 그분들의 명예회복이 이뤄지는 날이 제발 살아 계실 때 오길 염원한다.

※이 글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